Abstract
The number of public libraries is not good enough in Korea. The main reasons why there are not many libraries are: the lack of people's recognition of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ublic libraries, stingy investment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building public libraries, and no policy on effective building of public libraries. Now, there should be a policy on building and operating small-size public libraries that the developed country adopts. Redevelopment of local areas and reconstruction of old apartment complex are the best chance of building small-size libraries in those areas. The apartment complex in which this study took place is going to be reconstructed in the near future. A small-size library can be built with a district office and a post-office as a multi-complex building. Building a small-size library with public institutions or business buildings in the place of redevelopment of local areas and reconstruction of old apartment complex is one of the best solution of solving the lack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우리나라에 공공도서관이 많이 없다. 그 이유는 국민들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과 중앙 및 지방정부의 도서관건립에 대한 인색한 투자와 함께 효과적인 공공도서관 건립정책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제 선진국과 같은 작은 도서관 건립 및 운영 정책을 펴야 한다. 지역 재개발 및 아파트 재건축 추진은 이들 지역에 작은 규모의 마을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서울에 있는 J아파트는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시점에서 새로운 위치로 옮겨가는 동사무소와 우체국을 하나의 건물로 신축하고, 이 건물 내에 공공도서관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을 이들 시설들과 함께 1층에 배치한다면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세 기관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처럼 재개발 및 재건축 지역에 공공기관 혹은 상엽시설과 함께 복합건물 형태로 작은 도서관을 건립하는 것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부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