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aper analyzes local children's libraries' status of application of classification scheme and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its application in order to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scheme for exclusive use of children's libraries. Through survey, the paper researched 96 local children's librarie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KDC-applied libraries numbered 53 and were the highest, libraries which developed their own classification scheme numbered 22, and libraries which applied classification scheme for children's library numbered 13. Further, many asserted that there needs to be a development of standard classification scheme to be used in children's library. On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applying classification scheme, notes such as difficulty of accommodating various forms of children's books(such as comic books and picture books), placing too much emphasis on collection of books on certain topic, and lack of topic categories appropriate for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books were voiced, and by holding additional discussion on these, the paper raised the usefulness of the dissertation to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classification scheme for exclusive use of children's library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어린이도서관 전용 분류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분류표 적용 현황 및 적용상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96개관의 어린이도서관을 조사해본 결과, KDC 적용 도서관이 53개관으로 가장 많았으며 자관분류표 개발 도서관이 22개관 어린이도서관 분류표 적용 도서관이 13개관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도서관에서 표준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분류표가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조사되었다. 분류표적용상의 문제점과 어려움에 대해서는 만화와 그림책과 같은 어린이도서의 여러 형태를 수용하기 어려운 점, 특정 주제에 장서가 편중되는 점, 장서 성격에 맞는 주제 항목이 부족한 점등이 제기되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를 통해 향후 어린이도서관 전용 분류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