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inforcement Effect of Cracked Concrete Tubes and Box Culverts by Installing Profile with Steel Stiffener and High Strength Mortar

스틸보강재가 부착된 프로파일 및 고강도 모르타르를 이용한 균열손상 콘크리트관의 보강효과

  • 여상록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 조은상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 황원섭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정재운 (리플래쉬기술(주) 기술연구소)
  • Received : 2007.07.19
  • Accepted : 2007.11.04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In this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reinforcement effects of the cracked concrete tubes and culverts, static load test was conducted. After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the original concrete tubes (nominal diameter 0.8 m, 1.0 m, 1.5 m) and box culverts (inner width 2.0 m. 2.5 m) was reduced by the cracking test, the cracked concrete specimens were strengthened by installing profile with steel stiffener and high strength mortar. And then, the maximum load tests were conducted the renewal concrete tubes and box culverts. According to the method application, the load carrying capacity increased 1.66~3.50 times than it of the original tubes before applying the method. In case of the original box culverts, the load carrying capacity increased 1.66~3.10 times than the case before installing profile and high strength mortar. Also non-linear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commercial FEM program of ABAQUS 6.6. Solid (C3D8R) elements and concrete damage plasticity option was applied to the analysis. For reflecting confined reinforcing bars in the analysis, the composite material properties were used.

본 논문에서는 내하력이 저감된 노후화 된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보강공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적재하 시험을 실시하였다. 내경 0.8 m, 1.0 m, 1.5 m인 원형관과 폭 2.0 m, 2.5 m인 상자형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관을 대상으로 정적 재하시험을 통하여 관 내부에 충분한 균열을 발생시킨 후 보강공법을 적용 한 후 다시 정적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 된 보강공법은 균열관 내부에 스틸보강재가 추가된 프로파일과 고강도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화학적 열화에 대한 저항성과 단면 내력을 증진 시킨 것이다. 보강공법 적용 후 단면 내력은 균열발생 이전 신관에 비해 원형관의 경우 1.66 ~3.50배, 상자형관의 경우 1.66~3.10배 정도 증가하였다. 또한 ABAQUS 6.6을 이용하여 보강공법 적용 전 후 콘크리트 원형관과 상자형관의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C3D8R 솔리드 요소를 사용하였고, concrete damage plasticity option을 적용하였다. 원형관과 상자형관에 배근된 철근의 영향성을 해석상 반영하기 위하여 합성 재료식을 유도하여 적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3)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한국콘크리트학회
  2. 권영진, 김충호, 이희원, 이홍원, 조근호(2003) 내약품성이 강화된 경질염화비닐재와 고점성 모르타르 및 특수제관장치를 사용 한 상하수시설의 리뉴얼공법(II), 한국콘크리트학회지, 한국콘 크리트학회, 제12집, 제5호, pp. 52-61
  3. 권영진, 김충호, 이희원, 이홍원, 조근호(2003) 내약품성이 강화된 경질염화비닐재와 고점성 모르타르 및 특수제관장치를 사용 한 상하수시설의 리뉴얼공법(III), 한국콘크리트학회지, 한국콘 크리트학회, 제15권, 제6호, pp. 70-77
  4. 안재오(2004) 철근콘크리트의 경사진 균열 유한요소에 대한 응력- 변형률 행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5. 연정흠(2003) 균열 철근콘크리트요소,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6. 임정순, 이상호, 황신우(2006) 최신 철근콘크리트, 구미서관
  7. 정원석(2006) 재료비선형을 고려한 콘크리트 보의 실용적인 유한 요소해석, 한국철도학회논문집, 한국철도학회, 제9권, 제6호, pp. 778-783
  8. 한국공업규격(2004)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KS F 4003, 한국 표준협회
  9. ABAQUS, Inc. (2006) ABAQUS Analysis User's Manual Version 6.6, Hibbitt, Karlsson, & Sorrenson
  10. Ansel C. Ugural, Saul Fenster, K. (2003) Advanced Strength and Applied Elasticity, 4th ed., Prentice Hall PTR
  11. Kim, D.H. (1995) Composite Structures for Civi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E & FN SPON
  12. Timoshenko, S.P. and Goodier, J.N. (1997) Theory of Elasticity, 3th ed., McGRAW-HILL
  13. Reddy, J.N. (1997) Mechanics of Laminated Composite Plates-Theory and Analysis, CRC Pres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