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Bio-Chemical Restoration Index at the Creation Site of Ecological Environmental Zone in Coastal Area

연안생태환경공간 조성지의 생물-화학적 복원지수 평가

  • Received : 2007.10.18
  • Accepted : 2007.11.16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The ecological environmental zones in coastal area, like tidal flat and salt marsh, were gradually decreased due to large scale of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reclamation and so 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tidal flat and salt marsh has been emphasized in coastal area as mitigation concept and studies on related this background has performed. But studies o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for degree of restoration we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as a fundamental study for evaluation of restoration on the cre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al zones in coastal area, it was conducted that the monitoring and experiment for bio-chemical factors (bio-diversity, population and biomass of macro-benthos, survival ratio of reed, the number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OD, IL, TN, TP and pH) using a in-situ pilot plant of tidal flat (Zone. P1) and salt marsh (Zone. P2), which was distinguished by content of dredged soil, in Jinudo, Nakdong estuary. From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toration index (RI), for evaluation concerning degree of restoration on the cre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al zones in coastal area, was suggested and quantita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a restoration index (RI).

대규모 연안개발에 따른 매립사업으로 연안역의 갯벌 또는 염습지 등의 연안생태환경공간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안역 자연환경의 완화조치(Mitigation)의 일환으로 인공갯벌 및 염습지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인공 연안공간 조성시 복원정도의 정량적 평가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안생태환경공간 조성지의 복원정도 평가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준설토 배합비에 따라 구분되는 인공갯벌(Zone. P1) 및 염습지(Zone. P2) 현장시험구를 조성하여 생물-화학적 환경인자인 시험구 내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생물다양성과 개체수 및 생체량/식생(갈대)의 정착률/종속영양세균수/이화학적 특성(COD, IL, TN, TP, pH)에 대한 환경성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각 환경인자들의 복원정도를 나타내는 복원지수를 제안하여 연안생태환경공간 조성에 따른 복원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산진흥원(1999) 한국연근해 유용연체동물도감. 도서출판구덕
  2. 국립수산진흥원(2001) 한국새우류도감. 한글그라픽스
  3. 권오순, 장인성, 이광수, 염기대(2003) 모래질 갯벌의 지반공학적 특성 및 인공갯벌의 안정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5권, 제2호, pp. 127-137
  4. 김성환(2005) 낙동강 하구둑 건설과 삼각주연안 사주섬 지형변화.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5. 김윤태, 김홍주, 권용규(2006) 낙동강 하구역 준설토 재활용을 위한 시멘트 혼합경량토의 압축강도 특성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한국해양공학회, 제20권, 제1호, pp. 7-15
  6. 김일회(1998) 한국동식물도감 제38권 동물편(따개비류, 공생성요각류, 바다거미류). 국정교과서주식회사
  7. 김훈수(1973) 한국동식물도감 제14권 동물편(집게게류). 삼화출판사
  8. 김훈수(1977) 한국동식물도감 제19권 동물편(새우류). 삼화출판사
  9. 손민호, 홍성윤(2003) 바위해변에 사는 해양생물. 풍등출판사
  10. 송영채, 이재원, 염혜경, 윤길림(2003) 항만준설토의 오염도 및 재활용 가능성 평가. 한국폐기물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폐기물학회, pp. 675-678
  11. 유선재, 김종구(1999) 갯벌의 오염물질 정화능력 평가. 한국수산학회지, 한국수산학회, 제32권, 제4호, pp. 409-415
  12.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2006) 해도분석을 통한 낙동강하구 사주 면적의 시.공간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한국해양공학회, 제20권 제6호, pp. 54-60
  13. 윤길림, 조홍연(2002) 준설토 재활용 방안 및 적용사례 분석. 지반환경공학회지, 한국지반환경공학회, 제3권, 제2호, pp. 48-63
  14. 이인철, 유창일, 윤한삼(2007) 낙동강 부정형적 사주발달과 환경인자간의 상관성 비교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한국해양환경공학회, 제10권, 제1호, pp. 13-20
  15. 이정규, 서희동(2000) 인공간석지 창출에 있어서 토양조성에 관한 연구. 유기성자원학회지, 유기성자원학회, 제8권, 제2호, pp. 85-92
  16. 이정규, 최영찬(1999) 인공간석지 창출에 있어서 토양구조를 결정하는 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한국환경과학회, 제8권, 제5호, pp. 587-592
  17. 한국조경학회(1999) (건설교통부 승인)조경설계기준. 圖書出版造景
  18. 한국해양연구소(1990) 한국산 두족류에 관한 연구(I). 연구보고서, BSPE00180-266-3, 한국해양연구소
  19. 한국해양연구원(2004) 훼손된 해안생태계 복원기술. 연구보고서, BSPN423-00-1288-3, 환경부
  20. 해양수산부(1998) 우리나라의 갯벌. 연구보고서, 해양수산부
  21. 해양수산부(2000) 준설토 재활용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해양수산부
  22. 해양수산부(2003) 준설토 재활용 방안 연구(IV). 연구보고서, 해양수산부
  23. 해양수산부(2004) 갯벌에서 미생물에 의한 생지화학적 오염정화능 판정기술 개발 - 경기만 갯벌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해양수산부
  24. 해양수산부(2005) 갯벌 생태계 복원을 위한 대형저서생물 다양성 조절인자 연구. 연구보고서, IB9200507190999, 해양수산부
  25. 해양수산부(2005) 우리나라의 갯벌 -자연생태의 특성-. 시그마프레스
  26. 上野成三, 高橋正昭, 原條誠也, 高山百合子, 國分秀樹(2001) 浚渫土を利用した資源循環型人工干潟の造成實驗. 海岸工學論文集, 土木學會, 第48券, pp. 1306-1310
  27. 上野成三, 高橋正昭, 高山百合子, 國分秀樹, 原條誠也(2002) 浚渫 土を用,いた干潟再生實驗におかる浚渫土混合比と低生生物の關係について. 海岸工學論文集, 土木學會, 第49券, pp. 1301-1305
  28. Balletto, J.H., Heimbuch, M.V., and Mahoney, H.J. (2005) Delaware Bay salt marsh restoration-Mitigation for a power plant cooling water system in New Jersey USA. Ecological engineering, Vol. 25, pp. 204-213 https://doi.org/10.1016/j.ecoleng.2005.04.005
  29. Lee, J.G., Nishijima, W., Mukai, T., Takimoto, K., Seiki, T., Hiraoka, K., and Okada, M. (1998) Factors to determine the functions and structures in natural and constructed tidal flats. Wat. Res., Vol. 32, No. 9, pp. 2601-2606 https://doi.org/10.1016/S0043-1354(98)00013-X
  30. Nishimura, S. (1992) Guide to seashore animals of Japan with color pictures and keys Vol.I. Hoikusha, Japan
  31. Nishimura, S. (1995) Guide to seashore animals of Japan with color pictures and keys Vol.II. Hoikusha, Japan
  32. Okutani, T. (1994) Field books Vol.8. Yama-kei Publishers Co., Ltd., Japan
  33. Okutani, T. (2000) Marine mollusks in Japan. Tokai Univ. Pre., Japan. Short, F.T., Burdick, D.M., Short, C.A
  34. Davis, R.C., and Morgan, P.A. (2000) Developing success criteria for restored eelgrass, salt marsh and mud flat habitats. Ecological engineering, Vol. 15, pp. 239-252 https://doi.org/10.1016/S0925-8574(00)00079-3
  35. Teal, J.M. and Weishar, L. (2005) Ecological engineering, adaptive management, and restoration management in Delaware Bay salt marsh restoration. Ecological engineering, Vol. 25, pp. 304-314 https://doi.org/10.1016/j.ecoleng.2005.04.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