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f Rainfall-Induced Slope Failures on the Effect of Unsaturated Soil Characteristics

불포화 지반특성 영향에 대한 강우시 사면붕괴의 사례 연구

  • 오세붕 (영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문종호 ((주)건일엔지니어링) ;
  • 김태경 (영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윤기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 Received : 2008.02.01
  • Accepted : 2008.04.25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Rainfall-induced slope failures were simulated by seepage and stability analyses for actual slopes of weathered soils. After undisturbed sampling and testing on a specimen of unsaturated conditions, a seepage analysis was performed under actual rainfall and it was found that the pore water pressure increased at the boundary of soil and rock layers. The safety factor of slope stability decreased below 1.0 and the failure of actual slope could be simulated. Under design rainfall intensity, the seepage analysis could not include the effects of the antecedent rainfall and the rainfall duration. Due to these limitations, the safety factor of slope stability resulted in above 1.0, since the hydraulic head of soil layers had not be affected significantly. In the analysis of another slope failure, the parameters of unsaturated conditions were evaluate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In the analysis of seepage, the boundary of soil and rock was saturated sufficiently and then the safety factor could be calculated below 1.0. It was found that the failure of actual slope can be simulated by ANN-based estimation.

본 연구에서는 실제 풍화토 사면에 대하여 침투해석과 안정해석을 수행하여 강우에 따른 사면의 붕괴를 재현하였다. 불교란시료를 채취하여 불포화토 물성을 실험적으로 직접 획득하여 실제 강우량에 의하여 침투해석을 수행한 결과, 토사층과 암층의 경계부를 중심으로 간극수압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안정해석을 수행한 결과 안전율이 1.0미만으로 감소하여 실제 사면의 붕괴를 재현할 수 있었다. 또한 설계 강우강도에 의하여 침투해석을 수행한 결과 선행강우 및 강우기간에 따른 침투효과를 고려하기 곤란하였다. 이로 인하여 토사층의 수두변화가 크게 발생하지 못하였고 사면의 안전율이 1.0이상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붕괴 사면의 경우에는 불포화토의 정수들을 인공신경망기법으로 추정하였다. 침투해석 결과 토사층과 연암층 경계부를 중심으로 포화대가 뚜렷하게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토사층의 안전율이 1.0미만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기법을 통하여 실제 사면의 붕괴를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1) 도로설계기준
  2. 김태경(2005) 침투를 고려한 불포화사면의 안정성해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3. 신길호, 박성완(2006) 풍화계열 사면의 불포화 함수특성곡선 이력이 강우 침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22권 제7호, pp. 55-64
  4. 신방웅, 이봉직, 이종규, 강종범(2003) 불포화 화강풍화토의 함수 특성,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환경공학회, 제4권 제1호, pp. 49-58
  5. 이성진, 이혜지, 이승래(2005) 화강풍화토에 대한 함수특성곡선-추정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21권 제1호, pp. 15-27
  6. 이인모, 조우성, 김영욱, 성상규(2003) 풍화토 사면에서 강우로 인한 간극수압 변화에 대한 실험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19권 제1호, pp. 41-49
  7. 조성은, 이승래(2000), 강우침투에 따른 불포화 토사사면의 안정 해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16권 제1호, pp. 51-64
  8. Fredlund, D. G. and Rahardjo, H.(1995) Soil Mechanics for Unsaturated Soils, John Wiley & Sons Inc.
  9. Fredlund, D. G. and Xing, A. (1994) Equations for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31, pp. 521-532 https://doi.org/10.1139/t94-061
  10. Geo-slope, (1998a) User's Guide for SEEP/W, version 5. Geo-slope International Ltd, Canada
  11. Geo-slope, (1998b) User's Guide for SLOPE/W, version 5. Geoslope International Ltd, Canada
  12. Rahardjo, H., Ong, T. H., Rezaur, R. B. and Leong, E. C. (2007) Factors controlling instability of homogeneous soil slopes under rainfall,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3, No. 12. pp. 1532-1543 https://doi.org/10.1061/(ASCE)1090-0241(2007)133:12(1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