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ablishment about Service Level and Evaluation Model of Bus Stop

버스 정류장의 서비스 수준 및 평가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8.01.17
  • Accepted : 2008.01.25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Bus stop is necessary to improve user-focused environment to offer convenient service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passengers. This study is to analyze user's evaluation and establishment model of the service levels at bus stop using GAP analysis, IP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uggests improvement direction of bus stop. In the GAP analysis, on thirty-one service items of bus stop, the difference appeared highly from the items such as obstacle's facility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ing bus. In the current IPA service bus operation information, cadence facility and obstacle support facility need to be improved. And in service expectation bus operation information and th exchange facility, the obstacle support facility need to be improved continuously. The evaluation model of bus stop service due to a structure equation's was fitted well by structure equation. In overall satisfaction on bus stop, the waiting satisfaction is more affect the satisfaction of bus use facility. Satisfaction in bus use facility, the related information of bus operation, cadence facility, bus 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 facility, obstacle support facility is more affect compare to other items. The lower overall satisfaction in bus stop is the higher the expectation of overall satisfaction is. Therefore, the information of bus operation and the support facility for the handicapped needs an active improvement plan than ever.

버스 정류장은 많은 승객이 이용하기 때문에 편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이용자 중심으로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GAP, IPA,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버스 정류장 서비스 수준에 대한 이용자 평가모델 구축을 통하여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버스 정류장의 31개 서비스 항목에 대한 GAP 구축에서는 장애인 관련 시설, 버스 이용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항목에서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IPA의 현재 서비스의 경우는 버스 운행 관련 정보, 보조시설, 장애인 지원시설에서 우선 시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기대치의 경우는 버스 운행 관련 정보 및 환승시설, 장애인 지원시설에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에 의한 버스 정류장 서비스 평가모델은 적합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버스 정류장 전체 만족도에는 시설 이용 만족보다는 대기 만족 그리고 버스 정류장 시설 이용 만족에는 버스 운행 관련 정보 만족, 보조시설 만족, 버스 운행 정보 및 환승시설, 장애인 지원시설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전체 만족도가 낮을수록, 전체 만족도에 대한 기대치가 높게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버스 운행 관련 정보와 장애인 지원시설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개선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균(2000) 시내버스 정차시간 분석.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3. 건설교통부(2005) 도로교통용량편람
  4. 권대우(2004) 교통의식을 기초로 한 대중교통 서비스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5. 권순영, 윤성훈, 김주원, 이상호, 박영기(1998) 버스정류장 형태와 영역인지를 중심으로 한 승객 대기행태 조사 연구. 1998년도 학술발표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8권 제1호, pp. 51-57
  6. 김경도, 배기목, 김태호, 원제무(2006)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버스 유형별 서비스평가 모델구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1권 제6호, pp. 213-223
  7. 김구민(2001) 서울시 시내버스정류장 개선 방안.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8. 김민중(2001) 이용행태 분석을 통한 도심 버스정류장의 공간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9. 김영준(1996) 서울시 시내버스정류장의 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환경대학원
  10. 김현숙, 김영석(2001) 보행공간의 쾌적성 향상을 위한 버스정류장 정비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제17권 9호, pp. 211-218
  11. 서준석(2003) 버스 및 버스정류장 용량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12. 유상완.온순기(2003) 버스정류장 쉘터 형태의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디자인학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통권 제54호, Vol. 16, No. 4, pp. 405-421
  13. 유정복(1990) 버스정류장 적정길이 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14. 윤상근, 구자룡, 최천규(1996) CSI 고객만족도 조사방법 실무 지침서, 한국능률협회
  15. 임혜영(2002) 신호교차로와 버스정류장간 이격거리 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6. 장경환(1991) 간선가로의 버스정류장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17. 정헌영, 이원규(1999) 이용자 만족도에 기초한 교통수단의 서비스평가에 관한 연구, 1999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교통학회, pp. 90-95
  18. 조선구(2003) 도시부 버스정류장의 정차시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9. 최기주, 최윤혁, 오승훈(2006) IPA를 이용한 VMS 서비스 평가와 정보제공 개선 전략.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5D호, pp. 747-754
  20. 松橋啓介(2002) 公共交通機關の停留所の立地が徒步アクセスと潛在的利用人口に與える影響. 2002年度 第37回 日本都市計劃學會 學術發表會論文集, 日本都市計劃學會, pp. 157-162
  21. 飯島裕之.淺野光行(2002) バス停アクセス性からみた地域密着型 バスの利用特性に關する硏究. 2002年度 第37回 日本都市計劃學會 學術發表會論文集, 日本都市計劃學會, pp. 163-168
  22. Chiem, S.I. and Qin, Z. (2004) Optimization of Bus Stop Locations for Improving Transit Accessibility, Transportation Planning and Technology, Vol. 27, No. 3, pp. 211-227 https://doi.org/10.1080/0308106042000226899
  23. Chu, X. (2004) Ridership Model at the Stop Level, National Center for Transit Research
  24. El-Geneldy, A.M., Kimpel, T.J., and Strathmam, J.G. (2005)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Bus Stop Consolidation on Passenger Activity and Transit Operations. Center for Urban Studies College of Urban and Public Affairs Portland State University
  25. Fernandez, R. and Tyler, N. (2005) Effect of Passenger-Bus-Traffic Interaction on Bus Stop Operations, Transportation Planning and Technology, Vol. 28, No 4, pp. 273-292 https://doi.org/10.1080/03081060500247747
  26. Golob, T.F. (200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ravel behavior research,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pp. 1-25
  27. Hopkins, S.A., Strasser, S., Hopkins, W.E., and Foster, J.R. (1993) Service Quality Gaps in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Business Logistics, Vol. 14, No. 1, pp. 145-161
  28. Mishalani, R.G., McCord, M., and Wirtz, J. (2006) Passenger wait time perceptions at bus stops: Empirical results and impact on Evaluating real time bus arrival information, Journal of Public Transportation, Vol. 9, No. 2, pp. 89-106
  29. Stradling, S.G., Anable, J., and Carreno, M. (2007) Performance, importance an user disgruntlement: A six-step method for measuring satisfaction with travel mod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p. 98-106
  30. Thogersen, J. (2006) Undering repetitive travel mode choices in a stable context: A panel study approach.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p. 621-638
  31. TRB (1996) Guidelines for the Location and Design of Bus Stops, TCRP Report 19
  32. TRB (2002) Customer-focused transit, A synthesis of transit practice, TCRP synthesis 45
  33. TRB (200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2nd Edition, TCRP Report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