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퍼지이론에 기초한 유비쿼터스 교통시대 첨단차량 운전자의 불안감도 산정

Estimation of Measure of Alarmness of Drivers in Ubiquitous Transport Based on Fuzzy Set Theory

  • 박희제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유비쿼터스 교통시스템연구실) ;
  • 배상훈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김영섭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투고 : 2007.11.09
  • 심사 : 2007.12.03
  • 발행 : 2008.01.31

초록

현재 첨단차량 분야의 기본 기술 중 기 개발된 추종모형은 운전자 및 운행 환경적 요소 등을 배제하고 오직 두 차량사이의 물리적 상관관계에 의해서만 거동하도록 개발되어져 있다. 그러나 추종거동의 현실적 적용을 위해서는 차량 운전자의 특성 및 운행 환경적 요소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다 현실적용이 용이한 추종모형의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차량 운전자가 주행 중 느끼는 불안감의 정도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운전자의 불안감도(Measure of Alarmness ; MOA)는 유비쿼터스 교통 하에서 첨단차량이 추종거동을 하고 있을 때 추종차량과 선행차량 간의 상대적 관계 및 환경적 요인과 운전자의 특성에 의해 측정되는 수치이다. 운전자 MOA의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측정을 위하여 운전자 불안감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MOA 측정 퍼지로직모형을 구축하였다. 시나리오에 의해 정의된 입력값으로 MOA를 산정하여 구축한 퍼지로직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으며, 본 논문의 결과는 주행 중 관여하는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추종상태에서 느끼는 운전자의 불안감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함으로서 기존의 추종거동모형을 보다 현실화시키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불안감도는 운전자의 주행 중 안전성과 안락함을 평가하는데 주요한 척도로 적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Currently, existing car following models among several basic systems of advanced vehicle systems are almost developed related to the physical relation between two vehicles except for the driver's behavior or environmental factors. But the consideration of driver's character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driving are very essential factors for actual application. Hence, we suggested calibrating the degree of driver's discomfort on driving that is the former study to develop a new car following model of advanced vehicle to use in actuality. The degree of driver's discomfortness (Measure-of-Alarmness; MOA)is measured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lowing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driver's characters in ubiquitous traffic. We made up questions to drivers to obtain the general and the objective measurement of driver's MOA. And the fuzzy logic model for measurement of MOA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We verified the suitability of fuzzy logic model through the computation of MOA with several scenarios. And we measured the quantitative degree of driver's discomfortness on car following related to several factors which affect drivers.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development of car following model applying driver's MOA will promote the actual application of advanced vehicle more effectively than the existing models. Finally, we thought the measurement of driver's MOA will be applied significantly to evaluate safety and comfort of drivers on driv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장욱, 남궁문, 김정현, 이수범(2006) 퍼지 및 신경망이론을 이 용한 교통사고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4권 제7호
  2. 이상배(1999) 퍼지-뉴로제어시스템, (주)교학사
  3. 이현엽, 문경일(1999) MATLAB을 이용한 퍼지-뉴로 도서출판 아진
  4. 정영근, 박창호(2005) 퍼지 추론을 이용한 최단 경로 탐색 알고 리즘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8호
  5. Chiyomi Miyajima, Yoshihiro Nishiwaki, Koji Ozawa, Toshihiro Wakita, Katsunobu Itou, Kazuya Takeda, and Fumitada Itakura (2007) Driver modeling based on driving behavior and its evaluation in driver identification, 2007 IEEE, Vol. 95, No. 2
  6. David Shinar and Richard Compton (2004) Aggressive driving : an abservational study of driver, vehicle and situational variabl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6, pp. 429-437 https://doi.org/10.1016/S0001-4575(03)00037-X
  7. Peter Bonsall, Ronghui Liu, and William Young (2005) Modelling safety-related driving behaviour-impact of parameter valu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 39, pp. 425-444
  8. Rovert D. Mather (2007) Age and driving behavior: Contributions from human factors, Journal of Scientific Psychology
  9. Srinivas Peeta, Pengchen Zhang, and Weimin Zhou (2005) Behavior- based analysis of freeway car-truck interactions and related mitigation strategi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39, pp. 417-451 https://doi.org/10.1016/j.trb.2004.06.002
  10. Tatsuru Daimon and Hironao Kawashima (2003) Study of aged drivers' behaviors when using the advanced cruise-assist highway systems (AHS) at an intersection, JSAE Review, Vol. 24, pp. 393-402 https://doi.org/10.1016/S0389-4304(03)00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