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진공주사현미경(LV-SEM)을 이용한 목재횡단면의 수축거동관찰

Observation of Shrinkage Features of Cross Sectional Surface of Wood by LV-SEM

  • 투고 : 2005.02.17
  • 심사 : 2008.01.15
  • 발행 : 2008.05.25

초록

목재의 수축거동을 짧은 시간 내에 세포수준에서 관찰하기 위하여 목재를 함수상태로 관찰할 수 있는 저진공 주사전자현미경(Low-Vacuu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의 경통 내에서 습윤상태의 소형시편을 탈습시켜 건조시키면서 횡단면에서의 목재수축거동을 관찰하였다. 또한 동일한 개체에서 수축율 시험편을 제작하여 실제목재의 수축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경통 내의 탈습은 약 20여 분 정도에 완료되어 짧은 시간 내에 목재의 수축과정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수축율 시험편의 수축율과 현미경 내의 탈습에 의한 소시험편의 수축율은 비슷하였다. 목재의 수축율에 기여하는 춘재와 추재의 수축율에 대한 개개의 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양자의 수축량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재의 수축과 세포벽수준에서의 수축을 비교해보면, 목재의 수축은 춘재보다 추재에 의해 좌우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shrinkage of wood by LV-SEM (Low-Vacuu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hich can observe wetted wood sample. The shrinkage of small sample specimen by the dehumidification in the specimen chamber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wood specimen. The observation of cross sectional surface of wood from wetted condition to dried condition can be achieved in about twenty minutes by means of the dehumidification in the specimen chamber of LV-SEM. The volumetric shrinkage of earlywood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latewood. The shrinkage of SEM observation specimen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wood specimen. From the correlation of the shrinkages between SEM observation specimen and normal wood specimen, it is surmised that the shrinkage of wood is more strictly dominated by shrinkage of latewood than that of earlywoo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춘원, 堤壽一, 장상식. 2001. 종압축하중하에서 춘재와 추재의 역학적거동. 목재공학. 29(2): 76-83.
  2. 강춘원, 松村順司. 2004. LV-SEM내의 탈습을 이용한 목재 수축거동 관찰. 한국목재공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pp. 240-243.
  3. 일본전자현미경학회. 2001. 주사전자현미경의 기초. 반도출판사.
  4. 정희석. 1986. 목재이학. 서울대학교출판부. pp. 205-207.
  5. 足立有弘, 石丸 優, 藤田 稔, 佐道 健. 1989. 有機液体による木材の膨潤異方性(第2報) レプリカ法によるブナの横斷面膨潤異方性の檢討. 日本木材學會誌. 35(8) : 689-695
  6. 龜井克之, 石丸 優, 飯田生穂, 古田裕三. 2004. 木材の力學的性質に及ぼす試料調整法の影響(第1報)飽水木材の水中浸漬時間, 溫度, 加熱後の冷却速度の影響. 日本木材學會誌. 50(1) : 10-17
  7. 三河尻尙人, 松村順司, 大熊幹章, 小田一幸. 2001. LV-SEMを使った脫濕に伴う細胞形狀変化の觀察と異方性の檢討. 日本木材學會誌. 47(4) : 289-294
  8. 小倉一道. 2002. 低眞空SEMの耐火物試料への応用. 耐火物. 54(4) : 188-192.
  9. Kang, C. W. 2005. The mechanical behavior and the anatomical changes of wood due to variation of deflection rates. J.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3(5) : 7-12.
  10. Eom, Y. G., and B. G. Butterfield. 2001. Anatomical comparison of compression, opposite, and lateral woods in New Zealand rimu. J.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9(3) : 1-13.
  11. Watanabe U., M. Fugita, and M. Norimoto. 1998. Transverse Shrinkage of Coniferous Wood Cells Examined Using Replica Method and Power Spectrum Analysis. Holzforschung 52 : 200-206. https://doi.org/10.1515/hfsg.1998.52.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