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 기법 규명을 위한 칠도막의 현미경 관찰

Observation by the Microscopic Analysis of Lacquer Layer for Identification of Lacquer-ware Function

  • 김수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 이광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투고 : 2008.04.08
  • 심사 : 2008.07.09
  • 발행 : 2008.11.25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대 칠 기법을 규명하기 위하여 4가지 그룹의 표준칠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투광, 낙사광, 편광)을 이용한 관찰을 실시하였다. 그룹 I 은 투명한 적갈색을 띠며 일부 층의 구분이 불명확하였고 연마가 된 층은 구분이 쉽게 되었다. 그룹 II는 대부분 투명 황갈색을 띠며 목재표면에 먼저 흑색안료를 메운 후 칠한 칠층과 흑색안료를 혼합하여 칠 한 칠층은 구분이 가능하였다. 그룹 III은 칠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층 부분이 먼저 막을 형성하고 내부는 칠과 불포화지방산이 산화 건조되어 상층의 칠층이 분리되어 관찰되었다. 그룹 IV의 칠도 막은 편광에서 관찰시 철 성분이 검은색과 붉은색으로 혼합되어 보이며 토분은 실리카 결정이 빛의 반사에 의하여 구분되어 졌다. 또한 석간주 칠층은 붉은색을 띠고 주칠과 석간주가 혼합된 칠은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짙은 붉은 색을 띠며 가운데는 밝은 붉은색으로 구분되어 졌다.

In this study, the observation of test pieces with an optical microscope was carried out after fabricating 4 groups of standard lacquer,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ancient lacquering techniques. Group I had transparent reddish brown color, and the part of layer was indefinite, and the layer polished was easily distinguished. Group II had mostly transparent yellowish brown color, and it was possibility distinguished the layers when they were varnished with mixed lacquer after prime coating, and when they were varnished with lacquer as the prime coating. Group III set up membrane in the hardening process of the lacquer, and the lacquer and the unsaturated fatty acid of internal part was dried, so the top layer and the lacquer layer were separated and observed. Group IV: When the lacquer coat film of Group IV test pieces were observed in polarized light, the ferrous components were seen as the black and red color were mixed, and the silica crystals of silty soil were distinguished by reflection of lights. And the colors were distinguished as the lacquer layer of ruddle had red color, and the mixed lacquer of reddish lacquer and ruddle had the deep red color at the top and the bottom, but the middle part had the bright red colo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수, 유해선, 이용희. 2003. 낙랑칠기의 칠기법 조사. 박물관보존과학. 4: 79-88.
  2. 김경수, 유해선, 이용희. 2003. 낙랑칠기의 칠기법조사. 박물관보존과학. 4: 79-88.
  3. 김수철, 이광희. 신성필. 2007. 무령왕릉 목관재 및 칠기의 수종과 칠 기법 연구. 무령왕릉 출토유물분석보고서 (III). pp. 202-231.
  4. 김수철, 이용희, 이효선. 2004. 출토 칠기의 칠기법 조사. 제20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pp. 101-102.
  5. 송홍근. 1998. 정제옻칠의 생산기술 개발. 농림개발사업연구보고서.
  6. 岡田文男. 1995. 古代出土漆器의 硏究. 京都書院.
  7. 李容喜, 安秉燦, 岡田文男. 1994. 韓國古代漆器の下地中に混和された骨粉について. 日韓における考古遺物の材質, 技法に関する分析の比較硏究. 平城4,5年渡科学硏究費補助金硏究成果報告書.
  8. 李容喜. 1994. 統一新羅時代漆器の材質と技法. 日韓における考古遺物の材質, 技法に関する分析の比較硏究.平城4,5年渡科学硏究費補助金硏究成果報告書.
  9. 中里壽克. 1985. 古代漆下地の硏究. 保存科學. 24: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