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iterature Review on Tteoks, Korean Rice Cakes Prior to the 17th Century

17세기 이전 조선시대 떡류의 문헌적 고찰

  • Won, Sun-Im (Department of Food Science & Nutrition, Hallym University) ;
  • Cho, Shin-Ho (Department Food & Nutrition, Bucheon College) ;
  • Chung, Rak-Won (Department of Traditional Cuisine, Baewha Women's college) ;
  • Choi, Young-Jin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Kwandong University) ;
  • Kim, Eun-Mi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Kimpo College) ;
  • Cha, Gyung-Hee (Department of Traditional Food Culture, Jeonju University) ;
  • Kim, Hyun-Sook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Hanyang University) ;
  • Lee, Hyo-Gee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Hanyang University)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inds of Tteoks along with their recipes and ingredients occurring in Korean literature published before the 17th century. The reviewed sources included "Sangayorock", "Sasichanyocho", "Soowonjabbang", "Yongjechongwha", "Dongyoebogam", "Domoondaejak", "Geebongyouseul", "New-Guwhangchalyo", "Eumshickdimibang", "Joobangmoon", and "Yorock". Various types Tteoks could be classified into sic groups depending on their cooking methods as follows 23 kinds of Jjjin-tteoks, 8 kinds of Chin-tteoks, 24 kinds of Jijin-tteoks, 6 kinds of Salmeun-tteoks, 4 kinds of Guun-tteoks and 8 other types of tteoks. Within this paper, Tteok recipes and cooking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and their ingredients, terminology and preparation utensils are reviewed. However some of the Tteok recipes are presently gone or have changed. From this study, we anticipate the development of useful recipes for those who are concerned about health and who seek longevity, and thereby to also advance the culture of Korean rice cakes.

Keywords

References

  1. 강와(强窩) 원저. 1691. 치생요람(治生要覽)
  2. 강인희. 1997. 한국의 떡과 과줄. 대한교과서(주). 서울. pp 13-116
  3. 강인희, 이효지, 조후종, 이춘자, 조신호, 김혜영, 김종태. 2000. 한국음식대관 제3권. 한림출판사. 서울. p 11
  4. 강희맹(姜希孟) 원저. 1655. 사시찬요초(四時簒要抄)
  5. 김귀영, 이성우. 1986. 酒方文의 조리에 관한 분석적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4):335-349
  6. 김명호 외 9인 역, 2006, 도문대작(屠門大嚼). 신편 국역성소부부 고 제25권, 민족문화추진회, 서울
  7. 김병각, 김양섭, 석순자, 성재모, 신재용, 안영남, 한정혜. 1995. 버 섯건강요법. 가림출판사. 서울
  8. 김수(金綬) 원저. 1500년대 초. 수운잡방(需雲雜方)
  9. 남만성 역. 1975. 지봉유설(芝峯類說). 을유문화사, 서울
  10. 맹혜열, 이효지. 1988. 떡류의 문헌적 고찰, 한국식문화학회지. 3(2): 152
  11. 저자미상. 1680. 요록(要錄)
  12. 민족문화추진회 역. 1997. 용재총화(慵齋叢話). 솔출판사. 서울
  13. 성현(成俔) 원저. 1500년대. 용재총화(慵齋叢話)
  14. 안동장씨 원저.1670. 음식디미방
  15. 어숙권(魚叔權)원저. 1554. 고사촬요(攷事撮要)
  16. 윤서석. 1974. 한국식품사연구. 신광출판사. 서울
  17. 윤서석. 1985. 증보한국식품사연구. 신광출판사. 서울
  18. 윤숙경 역. 1998. 수운잡방(需雲雜方). 신광출판사. 서울
  19. 이문희 외 8인 역. 2004. 산가요록(山家要錄). 농촌진흥청. 수원
  20. 이성우, 조준하 역 1983. 요록. 한국생활과학연구. 한양대학교 생 활과학연구소. 창간호. pp 35-58
  21. 이성우. 1992a. 한국고식문헌집성, 고조리서(I); 요록, 주방문, 치생요람 부분. 수학사. 서울. pp 282-314
  22. 이성우. 1992b. 고대 한국식생활사 연구. 향문사, 서울. pp 385-393
  23. 이성우. 1999.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서울. pp 168-172
  24. 이수광(李晬光)원저. 1613. 지봉유설(芝峯類說)
  25. 이철호, 맹영선. 1987. 한국 떡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117-132
  26. 이효지. 1988. 조선시대 떡류의 분석적 연구. 미원문화재단. 한국 음식문화연구원논총 제1집
  27. 이효지. 1998.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서울. pp 297-304
  28. 이효지.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춘계연합학술대회 논문초록집. 제45차 pp72-87
  29. 이효지. 2005. 한국음식의 맛과 멋. 신광출판사. 서울. pp200-205
  30. 전순의(全循義) 원저. 1450년경. 산가요록(山家要錄)
  31. 하생원(河 生員) 원저. 1600년대. 주방문(酒方文). 손락범 편역. 1975 한국고대할팽법(韓國古代割烹法). 원문사. 서울
  32. 한복려 역. 2007. 다시보고배우는 산가요록.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33. 한복려, 한복선, 한복진 역. 2000. 다시보고 배우는 음식디미방.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34. 허균(許筠). 1611. 도문대작(屠門大嚼)
  35. 허준(許浚).1611. 동의보감국역위원회 역. 2003. 동의보감(東醫寶 鑑). 남산당. 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