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Quality Prediction of the Miho Stream Using GIS

GIS를 이용한 미호천의 장래수질예측

  • 노준우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소) ;
  • 이상진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소) ;
  • 이상욱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water quality projection of year 2010 in Miho stream of the Geum river basin by using GIS. Pollutant load data of corresponding tributary of the Miho stream is estimated based on the pollutant load of TMDL zone to simulate water quality of the Miho stream for BOD, TN, and TP. The pollutant load of the urban area such as Bochung and Musim stream basin is relatively high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of Chunju city directly affects the entire water quality of the target area. As a result, simulation result reveals that water treatment facility needs more refined treatment process for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Also, to meet the target water quality of the Miho stream water quality simulation estimates the additional dilution flow by increasing irrigation water supplied from the Daechung dam through the Musim stream.

본 논문에서는 금강수계의 미호천을 대상으로 GIS를 이용, 2010년을 대상으로 장래수질을 예측하였다.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자료를 기반으로 미호천으로 유입되는 지류별 수계에 대하여 재계산하여 각 수계별 오염부하량을 산정하였으며 이들 정보를 활용하여 지류별 농도를 계산한 다음 미호천의 수질모의를 실시하였다. 수질모의는 대표적인 하천수질 모형인 Qual2E 모형을 사용해서 BOD, TN, TP 등의 대표적인 수질인자에 대한 모의를 실시 하였다. 수계별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도시지역을 포함한 무심천 및 보청천의 부하량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미호천 전체 수질은 청주 하수처리장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유역에서의 효율적 수질관리와 오염총량제에서 제시한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화가 먼저 달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고, 그 외에도 무심천으로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유량을 증가시켜 이를 수질희석의 용도로 사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모의를 실시함으로써 수질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적정유량을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