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inancial structure of low-fertility household

저출산가계의 재무구조분석

  • 박진영 (경성대학교 이과대학 생활경영학과)
  • Published : 2008.08.30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e-child households' financial structure. The data from 1022 more than two children households and 236 one-child households were taken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2004). This study compared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marital characteristics between one-child households and more than two children households. A chi-square tes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One-child households were different from more than two children households in demographic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financial structure. In one-child households, the variable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consumption expenditures was monthly income and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were householder's age, home-ownership, monthly income.

Keywords

References

  1. 김선미(2005). 맞벌이 가족의 자녀양육방식을 통해 본 아동양육지원의 정책적 함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05-116.
  2. 김정례(2005). 우리나라 출산장려 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태홍, 김난주(2003). 우리나라 모성보호제도의 실시현황 분석과 개선방안. 한국여성개발원.
  4. 김현미(2005). 양육지원정책이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혜순(1982). 한국 부인의 이상 자녀수 감소 변인에 관한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대통령비서실 고령사회대책 및 사회통합 기획단 인구.고령사회 대책팀(2001-2004).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국가실천전략.
  7. 류연규(2005). 복지국가의 아동양육지원제도가 출산율에 미친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사회보장연구, 21(3), 233-261.
  8. 박미석, 송인자, 한정원(2004). 성인지적 관점과 한국의 여성복지 정책. 대한가정학회지,42(2), 195-212.
  9. 박진영(2006). 자산계층별 사교육비지출과 재무성과의 관련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6), 61-77.
  10. 변준한(2003). 기혼유배우 여성의 자녀수결정 요인분석; 20-44세 유배우 여성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성영애(2003). 가구주 직업에 따른 연령별 가계재무구조의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1(1), 39-58.
  12. 여성부(2003). 한국가족조사 및 가족조사 보고서.
  13. 연합뉴스(2007. 8. 23). 고학력 여성, 일단 결혼하면 출산율 높아. 출처: http://news.naver.com.
  14. 이미숙(2004). 아동의 정서지능과 지각된 부모행복도가 아동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승신(2003). 가계의 재무구조가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11), 151-169.
  16. 이재인, 김선미, 김은정(2005). 소외계층 가족의 자녀양육지원 정책연구. 국회여성가족위원회 정책연구, 05-2.
  17. 정민자(2004). 가정의 건강성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실천방안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가정정책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7차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8. 조대희, 김유경(1993). 최근의 출산력 변동요인과 인구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19. 조선일보(2006. 5. 23). 저출산 겁낼 일만은 아니다. p.7.
  20. 차경욱(2005). 저출산 가계와 출산계획 있는 가계의 경제구조 비교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37-148.
  21. 통계청(1980-2002). 인구동태통계. www.nso.go.kr.
  22. 통계청(2001). 장래인구추계.
  23. 한국여성개발원(2002). 여성통계연보.
  24. 허경옥(1997). 가계의 자녀양육에의 지출액 측정: 출생부터 18세까지의 양육비. 소비자학연구, 8(2), 1-19.
  25. 혹실드 알리 러셀(2001). 돈 잘 버는 여자 밥 잘 하는 여자. 백영미 옮김(2001). 서울: 아침이슬.
  26. Becker, G. S.(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Economic Journal, 75, 493-517. https://doi.org/10.2307/2228949
  27. Becker, G. S.(1993). A treatise on the family.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28. Bryant, K. W.(1990). The economic organization of the househol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Cane, G. G. & Dooley, M. D.(1976). Estimation of a model of labor supply, fertility and wages of married wome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4(4), 179-199. https://doi.org/10.1086/260420
  30. Espenshade, T.(1984). The economic organization of the househol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Schultz, T. W.(1982). Economics of the Family; Marriage, Children and Human Capital.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