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I 컬러모델 및 명도 군집화를 이용한 영상에서의 그림자영역 추출

Shadowing Area Detection in Image by HSI Color Model and Intensity Clustering

  • 최연웅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장영운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박정남 (순천제일대학교 토목과) ;
  • 조기성 (전북대학교 공과대학토목공학과.공업기술연구센터)
  • 발행 : 2008.10.31

초록

광학센서를 이용한 자료취득과정 중 발생하는 그림자는 영상내 동일 지물에 대한 밝기값의 지속성을 훼손하여 영상에 의한 지상 정보를 해석함에 있어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정보의 활용에 있어 그림자 영역을 추출하고 그림자에 의한 영상 왜곡을 제거하기 위한 기법에 관한 연구로써 자료원이 다른 보조자료의 활용을 배제하고 단일 컬러 영상으로부터 도심지의 지상 객체에 의한 그림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HSI 컬러모델의 명도(intensity) 정보를 이용하여 그림자 영역을 추출하였으며 퓨리어 변환에 의한 그림자 영역 복원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영상에서의 그림자 영향을 제거하였다.

The shadows, which is generated when acquiring data using optical sensor, mutilates consistency of brightness for same objects in the images. Hence, it makes a trouble to interpret the ground information. This study is focused on detecting the shadowing area in the images. And only single image is used without any other data which is acquired from different source. Also,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 using HSI color model, especially, using I(intensity) information, and the intensity clustering algorithm. Then, we illuminate the effects of shadow by FFT(Fast Fourier Transfor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종근, 송철호, 이종선, 조동섭 (2000), 컴퓨터그래픽스, 웅보출 판사, pp. 121-123, pp. 130-133
  2. 이운석 (2000), 동적 색채 분포 정보에 기반한 자동차 번호판 영 역 추출,석사학위논문,서울시립대학교
  3. 정용주 (2006), 엔트로피 최소화를 이용한 영상에서의 그림자 영역 제거 기법 연구,석사학위논문,전북대학교
  4. 정용주, 장영운, 최연웅, 조기성 (2006), 항공영상에서 그림자 경 계 탐색 및 복원 기법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4권, 제4호, pp.327-334
  5. 최연웅, 전재용, 박정남, 조기성 (2007), 영상의 그림자 영역 경 계 검출 및 복원 연구,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 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 169-173
  6. 최형일, 이근수, 이양원 (1999), 영상처리 이론과 실제, 흥릉과학 출판사, pp.13-29
  7. Canny, J. (1986), A Computational Approach to Edge Detect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8, pp. 679-698 https://doi.org/10.1109/TPAMI.1986.4767851
  8. Hall, D. L. and J. Llinas (1997), An introduction to multisensor data fusion, Proceedings of IEEE. vol. 85, no. 1, pp. 16-23
  9. Pohl, C. and j. L Van Genderen (1998), Multisensor image fusion in remote sensing: concepts, methods, and ap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19, no. 5, pp. 823-854 https://doi.org/10.1080/014311698215748
  10. Paul, M. D. (2005), Shadow Analysis in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of Urban Area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71, No. 2, pp. 169-177 https://doi.org/10.14358/PERS.71.2.169
  11. Rossi, R. E., J. L. Dungan and L.R. beck (1994), Kriging in the shadows: Geostaticstical interpolation for remote sensing,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49, no. 1, pp. 32-40 https://doi.org/10.1016/0034-4257(94)90057-4
  12. Randy Crane (1996), A Simplified Approach to Image Processing, Prentice Hall PTR, pp. 17-22, pp. 212-223
  13. Varchney, P. K. (1997), Multisensor data fus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Journal, vol. 9, no. 6, pp. 245-253 https://doi.org/10.1049/ecej:1997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