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ead Speed of Forest Fire based on Slope

경사에 따른 산불의 확산속도

  • 안상현 (충북대학교 응용생명환경학부) ;
  • 신영철 (충북대학교 응용생명환경학부)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As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ed, Information requirement has been went higher. In the field of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ore information is process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Especially, quick analysis of forest fire information (topography, ignition point, weather condition, etc.) over a wide area is essential in order to minimize victim, environmental damage, and economical damage, decide course of evacuating, estimate a fire spread course, and attack resource arrangement. We determined a fire spread distance at each unit time through an experiment with various slope degrees and distinction of flat, upslope and downslope. For the tests on the upslope, as the slope increased, the rate of spread increased. On the downslope in contrast with the upslope, as the slope increased, the rate of spread decreased. We analyzed a spread rate of forest fire on each slope as the method classified upslope(+) and downslope(-) us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Consequently, the proposed method is able to be used to effectively support the attack of forest fire by providing accurate predictions of fire spread.

현재는 기술적인 발전을 토대로 정보의 요구수준이 상당부분 증대되었으며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분야 또한 더 많은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 되어지고 있다. 특히 산불에 있어서는 산불발생시 공간적으로 넓은 지역을 신속히 분석하여 진화의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환경적, 경제적, 인명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대피경로, 확산경로 및 진화자원의 효율적 배치를 결정하는데 필수적이다. 이러한 산불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에서 경사에 따른 산불확산속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경사 및 경사방향에 따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상향경사의 경우 경사가 증가할수록 시간이 감소하고, 하향경사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값을 토대로 상향경사는 (+), 하향경사는 (-)로 구분하여 경사에 따른 산불확산속도를 계산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정확한 산불확산예측을 하는데 기여함으로써 효과적인 산불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장혁, 이광원 (1996) 산불의 실태와 대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 산림청 (2001) 동해안 산불백서
  3. 산림청 (2004) 한국의 산림입지
  4. 산림청 (2005) 2004년 산불통계자료
  5. 신영철, 안상현 (2000)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산불방재방안:청 주시 우암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 정보학회, 제3권, 제1호, pp. 23-34
  6. 안상현 (2006) 시공간 분석에 의한 산불위험예측모형 개발 및 산 불위험지역 구분,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7. 이병두, 정주상, 이시영 (2002) GIS 응용을 위한 산불확산예측 알고리즘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한국임학회, 제91권, 제6호, pp. 812-819
  8. 이시영 (1995) 산불발생 위험도 및 연소확대요인 분석에 관한 연 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9. 정연하, 이시영, 염육철, 여운홍 (1989) 산화위험율 예측에 관한 연구.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38: pp. 117-123
  10. 조명희, 오정수, 이시영, 조윤원, 백승렬 (2001) GIS를 이용한 산 불정보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 회, 제4권, 제3호, pp. 41-50
  11. Bradshaw, L.S., J.E. Deeming, R.E. Burgan, J.D. Cohen (1983) The 1978 National Fire-danger Rating System : Technical Documentation. USDA For. Serv. Gen. Tech. Rep. INT-169
  12. Finney, M.A. (1998) FARSITE : Fire Area Simulator - Model Development and Evaluation.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13. Hirsch, K.G. (1996) Canadian Forest Fire Behavior Prediction( FBP) System: user's guide. Canadian Forest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