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학의 학문적 패러다임 구성과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정책과 학문의 연계성 중심으로-

A study on Scientific Paradigm Formation and Identity Establishment of Fire Service Science - Focused on Liaison Between Policy and Study -

  • 발행 : 2008.09.30

초록

하나의 학문이 독립된 학문 분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그 학문 집단의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이해하고 공유하는 가치기준(패러다임 : paradigm)이 있어야 하고 어떤 독자적인 학문체계(정체성 : identity)가 정립되려면 관련학회의 학문연구 활동을 통한 경쟁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성하고 학문의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하므로 정치학, 경제학, 심리학 등 분야에서는 이를 위한 노력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방학 분야에 있어서는 학문의 공동연구를 위한 학회의 활동은 물론, 학자 간 학문의 교류 연구가 미미하여 새로운 학문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근원을 파악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소방학의 학문적 패러다임 구성과 정체성 확립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For a field of research to be an independent area of study, there must be a common paradigm that is shared by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for establishment of identity in a study, several relating scientific communities should actively study and research, which lead to a new paradigm. Effor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re found in Politics, Economics, and Psychology. Yet, the field of Fire Service Science have not yield these results which include active scientific communities, scholars and experts who research on the subject and exchange their expertises. New paradigm for the field is not established yet. Therefore, this research probes the origins of these problems and suggests a proper scientific paradigm and direction for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Fire Service Science in Korea's ambi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토마스 S . 쿤 저, 김명자 역,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두산동아, p.32 (1997)
  2. 최성룡, '소방학개론', 교육문화연구원, pp.99-100 (2007)
  3. 조동일, '우리 학문의 길', pp.24-29 (2007)
  4. 최성룡, '소방학개론', 교육문화연구원, pp.159-163 (2007)
  5. 김국래, 유병욱 공저, '재난관리론', 도서출판 정훈 사, pp.20-25 (2008)
  6. 서정원, '소방관계 법령집', 인쇄출판 토파민, p.3 (2007)
  7. 중앙소방학교, '2007년도 교육훈련실적', 중앙소방학 교 교육기획과 (2008)
  8. 중앙소방학교, '2008년도 교육훈련 계획', 중앙소방 학교 교육기획과 (2008)
  9. 사단법인 한국화재 소방학회, '홈페이지(http://www. kifse.or.kr)', 내용 발췌 정리 (2008)
  10. 한국소방안전협회 '홈페이지(http://www.kfsa.or.kr/)
  11. 한국소방검정공사 '홈페이지(http://www.kfi.or.kr/)
  12. 중앙소방학교, 소방학 총론, pp.78-81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