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ub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utogenous Hamstring Grafts

이중 다발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 Choi, Nam-Y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Nam, Won-Si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Yang, Young-J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an, Chang-Hw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Moon, Chan-Wo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won, Jae-Yo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ong, Hyun-Se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최남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남원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양영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한창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문찬웅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권재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송현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Purpose: Double-bundle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has the advantage of restoring the isometry and original function of AC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following double-bundle reconstruction of ACL using autogenous hamstring grafts through an accessory anteromedial porta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July 2006, sixty patients(52 males, 8 females) underwent double-bundle ACL reconstruction using autogenous hamstring tendons..The mean age was 31.7 years($20{\sim}51$ year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13.4 months($12{\sim}16$ months). We made a horizontal-oblique skin incision just medial to tibial tuberosity and harvested semitendinosus and gracilis tendon. Tibial tunnel for posterolateral bundle was made near its anatomical position. By modifying an anatomic reconstruction of ACL by Yasuda et al., we made a femoral tunnel for posterolateral bundle through accessory anteromedial portal. Tunnels for anteromedial bundle were made with conventional method. We reconstructed anteromedial bundle with semitendinosus tendon and posterolateral bundle with gracilis tendon. Clin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were evaluated by range of motion, extent of anterior displacement(KT-1000 arthrometer), pivot-shift test. Functional evaluation of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Lysholm score and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 Results: There was no limitation of motion of knee joint at last follow up. Mean side to side difference of anterior displacement of tibia by KT-1000 arthrometer was improved from 8.4 mm preoperatively to 1.7 mm postoperatively(p<0.05). Average Lysholm score was improved from 64.1 preoperatively to 92.2 postoperatively(p<0.05). In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 90% of cases were rated as good or excellent. Conclusion: Double-bundle reconstruction of ACL using autogenous hamstring grafts through accessory anteromedial portal results in good clinical outcomes.

목적: 이중 다발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등장성과 해부학적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부가적인 전내측 입구를 통한,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이중 다발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자가 슬괵건(hamstring tendon)을 이용하여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60예(남자: 52예, 여자: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31.7세($20{\sim}51$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3.4개월($12{\sim}16$개월)이었다. 슬관절의 경골 조면 부위에서 수평 사위(horizontal-oblique)의 피부 절개를 시행하여 반건양건(semitendinosus tendon)과 박건(gracilis tendon)을 얻었다. 후외측 다발을 위한 경골 터널은 해부학적인 위치에 만들었다. Yasuda 등이 보고한 방법을 변형하여, 후외측 다발을 위한 대퇴골 터널은 부가적인 전내측 입구를 통하여 만들었다. 전내측 다발에 대하여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터널을 만들었다. 후외측 다발은 박건을, 전내측 다발은 반건양건을 사용하였다. 최종 추시시 관절 운동범위, 전방 전위 정도(KT-1000 관절계), pivot-shift 검사로 임상 결과를 평가하였다.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는 Lysholm score와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를 측정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시 관절 운동 범위 제한은 없었다.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정상측과의 비교에서 경골 전방 전위가 술전 평균 8.4 mm에서 술후 평균 1.7 mm로 향상되었다(p<0.05). Lysholm score는 술전 평균 64.1점에서 술후 평균 92.2점으로 향상되었다(p<0.05).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에 의한 기능 평가에서는 90%에서 우수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부가적인 전내측 입구를 통한,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우수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