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Kinematic Variabl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tance in the Dead-lift of Snatch Events of Junior Weight Lifters

주니어 역도 선수 인상 종목의 Dead-lift 동작 시 스탠스유형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 비교분석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in training to improve athletes' competitivenes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inematic variabl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tance. For this study, the subjects selected 4 Junior Weight lifters. Subjects performed two type(8-type and 11-type) Dead-lift and their performance was sampled at 60frame/sec. using four high-speed digital video cameras. After digitizing images from four cameras,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s were used to produc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15 body segments(20 joint makers and 2 bar maker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for the time required for stances, 8-type motion was faster than 11-type motion. 2. As for the body-center shift in stances, 8-type motion was bigger than 11-type motion in back and forth motion shift, and 11-type motion was bigger than 8-type motion in right and left, up and down motion shift. 3. As for the speed of a body-center and a babel, 8-type motion was faster than 11-type motion. 4. As for the motion-trace of a babel in stances, 8-type motion was bigger than 11-type in back and forth, right and left motion and 11-type motion was bigger than 8-type in up and down motion. 5. As for the body-angles in stances, 8-type motion was bigger than 11-type in the stance angle, and 11-type motion is bigger than 8-type in the angles of a coxa, a knee and an ankle.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8-type and 11-type stance of Junior Weight lifters dead-lift, both were generally similar in variables, but 8-type motion was more stable than 11-type in aspects of time, speed, center shift, angle change.

본 연구는 주니어 역도 선수 인상 종목의 주요 국면인 Deadlift 동작 시 스탠스 유형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을 비교 분석하여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훈련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8자형은 11자형에 비해 바벨과 신체의 발란스에 적합한 소요시간을 보였고 바벨을 끌어올리는데 요구되는 인체중심의 전 후, 좌 우이동범위를 작게하여 인체의 안정성을 유도하였다. 또한 8자형의 인체중심속도와 바벨의 속도는 E3(바가 고관절에 도달할 때)를 지나면서 상방향으로 바를 끌어올리는데 유리한 조건의 큰 속도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몸통과 고관절 무릎, 발목 및 스탠스 각도에서 8자형은 11자형에 비해 인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순간적인 힘을 발휘하는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명남(1999). 역도 풀 동작의 스탠즈에 따른 운동역학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용재(1998). 남.여 역도선수의 인상.용상 동작에 관한 생체 역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용재, 이중숙 (2001). 우수 역도선수 인상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 40권 제3호.
  4. 대한체육회(1984). 역도 경기 훈련지도서. 서울: 스포츠과학연구소.
  5. 문영진(1998). 역도 인상 동작 수행 시 인체 관절에서 발생하는 모멘트의 산출,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문영진, 송주호(2001). 역도 엘리트 선수들의 인상 기술 운동학적 분석. 성균관대학교 스포츠과학논집.
  7. 박찬홍(1981). 역도 스내치 동작의 생체 역학적 연구, 스포츠과학연구보고서, Vol 14, No. 1.
  8. 소재무(1990). 역도 인상동작의 성,패 변인 분석에 관한 생체 역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신동철(1986). 역도경기 인상 동작에 관한 생체역학적 분석.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신동철(1993). 역도경기 용상 동작의 운동학적 연구. 한국체육과학연구원 1급 경기지도자연수원 역도전공 수료논문.
  11. 안병훈(1997). 역도선수의 최대 각.완 신굴근과 경기 기록간의 관계.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예종이(1994). 바벨 인상 동작시 바와 인체중심변화에 대한 운동학 및 운동역학적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주명덕(1998). 역도 경기의 인상과 용상 종목의 풀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비교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1998 제8권, 제2호, 57-79
  14. 주명덕(1991). 역도 경기의 인상동작에 대한 생체역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최규정, 이춘식(1985). 역도 경기의 풀 동작에 관한 역학적 연구. 1985년도스포츠 과학 연구 과제 종합 보고서, I.
  16. 황덕호(1974). 역도경기의 동작분석, 스포츠과학연구 보고서, Vol. 11, No.1: pp.99 - 106.
  17. Baumann, W, Gross V., Quanda K., Galbierz P., & Schwizz A. (1988). The snatch technique of worldcless weightlifrers at the 1985 World Championships. International Iournal of Sport Biomechanics. 4, 68-89.
  18. Breniere, Y., Bouisset S., Gatti L. & Cuong M. (1979). A dynamic analysis of weightlifting movement : squat snatch. In: Abstracts-VII International Congress of Biomechanics, Warsaw, Poland.
  19. Hunter, G. (1974). Velocity, acceleration, and movement patterns in the pulling phase of an olympic lift, Unpublished Master s Thesis, Michigan state University.
  20. Isaka, T., J. okada, & K. Funato(1996). Kinamatic Analysis of the Barbell Dunng the Snatch Movement of Elite Asian Weightlifters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12, 508-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