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and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Relation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in the Nuclear Family among Married Men and Women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기분화가 핵가족의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 Cho, So-Hee (Dept. of Human Ec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ung, Hye-Jeong (Dept. of Human Ec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parents' marital adjustment and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on the nuclear family relationships(marital adjustment of married men women, and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child).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with 159 married men and 193 married women.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married men and women perceived the level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lower than that of nuclear family relationship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arital adjustment across sex, age, marital status, and incom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self-differentiation, between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the nuclear family relationships, and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the nuclear family relationship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parents' marital adjustment and emotional cutoff were the powerful predictors of marital adjustment of married men women. Finally, women's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child was predicted by such variables as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parents, fusion with others, and emotional fusion, whereas men's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child was predicted by such variables as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parents, emotional reactivity, and I-posi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자(2007).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 및 자아분화와 부부갈등과의 관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병서(1999). 인과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 무역경영사.
  3. 권정란(2005).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신․김정란(2002). 가정폭력 세대전이가 기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3), 79-98.
  5. 김경자(2003).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체계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경희(1999). 발달심리학 -생애발달-. 학문사
  7. 김광웅․조유진․정유진(2005). 어머니와의 애정적 유대가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인지조절 능력의 성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6(5), 379-389.
  8. 김득성(1986). Spanier의 결혼적응척도에 관한 연구(I). 부산대학교 가정대학 연구보고 제 12집.
  9. 김영일(2006). 성인애착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희․신희정․채영문(2007). 원가족의 정서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부모역할 자신감이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2), 67-87.
  11. 김은경(1997). 결혼불안정성의 세대간의 직, 간접전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1), 191-200.
  12. 김재희․주은선(2002). 지각된 양육태도의 세대간 연구와 부적응 청소년 집단과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발달, 14(4), 1-18.
  13. 김현정(1999). 원가족 경험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주시 결혼초기부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남순현․한성열(2003). 신혼기 부부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결혼 후 친밀감에 미치는 원가족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3), 505-523.
  15. 문혁준(2000). 부모 훈육방법의 세대간 전이. 대한가정학회지, 38(5), 107-119.
  16. 문희선(1994).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과 자녀양육태도의 관계 -Bowen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박수영(2005). 아동의 부자유친성정과 자아분화 및 대인관계 성향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은영(2002). 애착이론과 자아분화이론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응임(1994). 영아-어머니 간의 애착유형과 그 관련변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박진희(2003). 아버지 양육태도의 세대전이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유영주․김순옥․김경신(2000). 가족관계학. 교문사.
  22. 유은희․박성연(1989). 모자간의 애착 및 모의 결혼관계에 따른 아들부부의 결혼만족도: 인과적 모형. 대한가정학회지, 27(2), 149-162.
  23. 유은희․전춘애(1995). 모의 자아분화수준과 모자간의 갈등이 청년기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치료학회지, 3, 137-153.
  24. 이숙․우희정․노명희․최정미(1999). 부부의 애착유형과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8), 43-54.
  25. 이영환(1993). '낯선 상황'에서 영아의 아버지에 대한 애착 유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주연(2008).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적용한 노년기 부부의 적응에 관한 연구 -개인자료와 부부자료의 비교-.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창만(1992).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부부적응.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현미(1996). 어머니의 부모에 대한 애착과 아동의 애착 안정성.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장미자(1998). 애착의 세대간 전이 -어머니의 내적 실행모델과 영아의 애착유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0. 장선웅(2008). 원가족 경험이 부부친밀감 및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장혜자(2002). 세대를 통하여 전이되는 조모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조모의 양육지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2. 장휘숙(1998). 애착에 대한 어머니의 내적 작동모델, 남편에 대한 애착 및 자녀의 생활만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1(2), 121-133.
  33. 전춘애(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박사학위 논문.
  34. 전효정(2003). 어머니-유아 애착의 세대간 전이의 매커니즘: 어머니의 내적 실행모델과 자녀양육행동이 유아의 애착유형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8(3), 159-174.
  35. 정문자․전연진(2004). 부모의 원가족 경험과 부부갈등 및 아동 행동문제의 일반적 성향과 이들 간의 인과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2(9), 161-175.
  36. 정문자․이종원(2003). 원가족변인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3), 147-164.
  37. 정문자․정혜정․이선혜․전영주(2007). 가족치료의 이해. 학지사.
  38. 정옥분(2007). 전 생애 인간발달의 이론. 학지사.
  39. 정혜승(2000). 어머니 자신의 부모 애착 및 양육행동과 자녀애착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정혜정․조은경(2007).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 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1), 19-48.
  41. 제석봉(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조은경(2001).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갈등 대처 행동 및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하상희(2007).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의 세대간 전이.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하상희(2007).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자존감 및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17-27.
  45. 허미선(2000). 부모의 대부모(對父母) 애착유형과 부부 애착유형 및 자녀의 애착안정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Amato, P. R., & Deboer, D. D. (2001). The Transmission of Marital Instability Across Generations: Relationship Skills or Commitment to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 1038-1051.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1038.x
  47. Belsky, J., Jaffee, S. R., Sligo, J., Woodward, L., & Silva, P. A. (2005).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Warm-Sensitive-Stimulating Parenting: A Prospective Study of Mothers and Fathers of 3-Year-Olds. Child Development, 76(2), 384-396.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5.00852.x
  48. Bowen, M(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 London: Jason Aronson, Inc.
  49. Holmes, J. (1993). John Bowlby & Attachment Theory. Taylor & Francis Books. 이경숙 역(2005). 존 볼비와 애착이론. 서울: 학지사.
  50. Hunsley, J., Pinsent, C., Lefevre, M., James-Tanner, S., & Vito, D. (1995). Construct Validity of the Short Forms of the Dyadic Adjustment scale. Family Relationship, 44(3), 231-237. https://doi.org/10.2307/585520
  51.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An approach based on Bowen Theory. New York and London: Norton Company. 남순현․전영주․황영훈 역(2005).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서울: 학지사.
  52. Kozlowska, K., & Hanney, L. (2002). The Network Perspective: An Integration of Attachment and Family Systems Theories. Family Process, 41(3), 284-312.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2.41302.x
  53. Kretchmar, M. D., & Jacovitz, D. B. (2002). Observing Mother-Child Relationships Across Generations: Boundary Patterns, Attachment, and the Transmission of Caregiving. Family Process, 41(3), 351-374.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2.41306.x
  54. Lawson, D. M., & Brossart, D. F. (2001).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Individuation and Intimacy Across Three Generations. Family Process, 40(4), 429-442.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1.4040100429.x
  55. Miller, R. B., Anderson, S., & Keala, D. K. (2004). Is Bowen Theory Valid? A Review of Basic Research.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0(4), 453-466. https://doi.org/10.1111/j.1752-0606.2004.tb01255.x
  56. Nichols, M. P., & Schwartz, R. C.(2001).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Fifth. Allyn & Bacon. 김영애․정문자․송성자․제석봉․심혜숙․김정택․정석환․김계현 역 (2002). 가족치료: 개념과 방법. 서울: 시그마프레스.
  57. Perren, S., Von Wyl, A., Bürgin, D., Simoni, H., & Von Klitzing, K. (2005).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arital Quality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Family Process, 44(4), 441-459.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5.00071.x
  58. Skowron, E. A. (2000). The Role of Differentiation of Self in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2), 229-237. https://doi.org/10.1037/0022-0167.47.2.229

Cited by

  1.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Married Women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Family of origin and Family Strength - Focused on Family Differentiation and the Family Rules - vol.21, pp.2, 2012, https://doi.org/10.5934/KJHE.2012.21.2.181
  2. Effects of Married Women's Maladaptive-Personality Conflict-Behavior on Marital Adjustment vol.30, pp.1,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1.065
  3. The Effects of Family Differentiation from the Family of Origin,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on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vol.31, pp.6,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6.23
  4. Experiences in the Family of Origin with Fathers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Significance Test of Mediating Effects by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vol.33, pp.6, 2015, https://doi.org/10.7466/JKHMA.2015.33.6.35
  5.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Childhood Attachment to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vol.38, pp.5, 2017, https://doi.org/10.5723/kjcs.2017.38.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