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rotesque in the Work of Alexander McQueen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 작품의 그로테스크적 특성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grotesque characteristics that were raised as the Aesthetics of the Ugly and how it was featured in Alexander McQueen's arts. In a methodological approach, the study attempted the analysis of historical literature that was published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long with justifiable investigation using fashion/collection magazines such as Vogue, Gap and Internet search. The scope of this study ranges from 1996's Haute Couture and Pret-a-porter collection pieces modern, to d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grotesque characteristic present throughout Alexander Mcqueen's arts is that it featured horrifying images or evil motives with pointy heads or horns, dark colored dresses, silver accessories, Dracula, witches, skulls, soldiers of evil, death and sickness. Second, aversion was realistically portrayed by frightening objects, extreme intimacy and motives that signify death and closely relative to cruelty to human bodies. It also became visible with physical destruction of the bodies and dissecting of internal organs, etc. Thirdly, its expression of humor is out of common sense with distorted human bodies by intentionally overemphasizing certain portion of the clothes or body parts. It also featured strangely deformed bodies by ignoring the typical shapes of clothes, vague definition of gender and using of unusual objects. Forth, half-man and half-beast images are portrayed using various types of bird species or animals to Identify disparity. It further defined this image in the form of non-human cyborg by incorporating technology.

Keywords

References

  1. 장미숙, 양숙희 (2000). 1990년대 후반 그로테스크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3), p. 437
  2. 금윤진 (2004). 알렉산더 맥퀸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아방가르드 성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주연, 이효진 (2005). Alexander Mcqueen의 패션작품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경향분석. 복식문화연구, 13 (2), pp. 300-313
  4. 박은경 (2006). Alexander Mcqueen의 패션쇼에 나타난 패션과 메이크업의 해체주의적 표현연구.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Thomson, P. (1972). The Grotesque. 김영무 역 (1986). 그로테스크. 서울대학교출판부, p. 17
  6. 전영운, 류신 (2001). 그로테스크의 형식, 내용, 수용. 인문학연구, 31, p. 150
  7. 서승미 (2003).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이미지.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2), p. 138
  8. 박은경 (2003). 패션에 표현된 그로테스크 이미지의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0), p. 88
  9. Thomson, P. (1972). The Grotesque. 김영무 역 (1986). 그로테스크. 서울대학교출판부, p. 14
  10. 박은경 (2003). 패션에 표현된 그로테스크 이미지의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0), p. 89
  11. Lawson A. Lewis (1964). The Grotesque in Recent Southern Fiction. Ann Arbor: UMI, p. 249
  12. Clayborough. A. (1965). The Grotesque in English Literature. London: Clarendon, p.116
  13. Thomson, P. (1972). The Grotesque. 김영무 역 (1986). 그로테스크. 서울대학교출판부, pp. 27-36
  14. 김선호(1983). Der Besuch der alten Dame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의 기법.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15. 박재현 (1999). 프리드리히 뒤레마트의 소설 '고장' 에 나오는 카니발적 그로테스크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16. 남미현, 박명희 (2004). 현대패션의 그로테스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4(8), p. 151
  17. 김선호(1983). Der Besuch der alten Dame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의 기법.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39
  18. 권선형 (2000). 사실주의와 그로테스크. 독일문학, 73 (1), p. 5
  19. 장미숙, 양숙희 (2000). 1990년대 후반 그로테스크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3), p. 439
  20. 서승미 (2003).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이미지.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2), p. 139
  21. 신창규 (1995). 뒤렌마트 희극의 근본구조로서의 그로테스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4
  22. Valerie, M, Amy de la Haye. (1999). 20th Century Fashion. 김정은 역 (2003). 20세기패션. 서울: 시공사, p. 291
  23. The World of Mcqueen (2003. 5). Harper's Bazaar, p. 293
  24. Alexander Mcqueen (2000. 2). Vogue, p. 218
  25. Teri, A. (1999). The End of Fashion. 박문성 역 (2001). 패션디자이너의 세계. 서울: 씨엔씨미디어, p. 62
  26. L'Enfant terrible redux (2006. 10). Harper's Bazaar, p. 364
  27. Caroline, E. (2003). Fashion at the Edge. USA: Yale university press, p. 144
  28. Caroline, E. (2003). Fashion at the Edge. USA: Yale university press, p. 179
  29. 자료검색일 2008. 2. 1, 자료출처 www.firstview.com
  30. New Couture Century (1999. 9). Vogue, p. 109
  31. L'Enfant terrible redux (2006. 10). Harper's Bazaar, p. 367
  32. 남미현, 박명희 (2004). 현대패션의 그로테스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4(8), p. 154
  33. Caroline, E. (2003). Fashion at the Edge. USA: Yale university press, p. 101
  34. Caroline, E. (2003). Fashion at the Edge. USA: Yale university press, p. 240
  35. 신정희, 유태순 (2001). 현대패션 및 메이크업에 표현된 데카당스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1(7), p. 66
  36. 박은경 (2003). 패션에 표현된 그로테스크 이미지의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0), p. 99
  37. 2002S/S Paris Collections (2001. 12). Vogue, p. 9
  38. Caroline, E. (2003). Fashion at the Edge. USA: Yale university press, p. 224
  39. Caroline, E. (2003). Fashion at the Edge. USA: Yale university press, p. 98
  40. David Wood T.G. (1999). Body Probe. New York: Creation Books, p. 44
  41. 김선영 (2008). 현대패션에 나타난 레드의상의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3), p. 9
  42. 서승미 (2005).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데포르마숑 이미지. 복식, 55(7), p. 47
  43. 2007S/S Collections (2006. 11). Gap Press, 73, p. 19
  44. 남미현, 박명희 (2004). 현대패션의 그로테스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4(8), p. 157
  45. Warwick, Alexandra & Cavallaro, Dani (1998). Fas- hioning the Frame. New York: Berg, p. 58
  46. 남미현, 박명희 (2004). 현대패션의 그로테스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4(8), p. 160
  47. 박은경 (2003). 패션에 표현된 그로테스크 이미지의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0), p.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