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igrants' Micro-Contexts of transnational Migr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외국인 이주자의 미시적 이주배경과 의사결정 과정

  • 최병두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
  • 송주연 (대구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지리교육)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micro-contexts of transnational migr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of foreign migrants in Korea with four types, that is, married immigrants, immigrant workers, professional 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analyzing dates of questionaries and interviews. Som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rried immigrants and immigrant workers show relative lower level of micro-environments than professional 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Secondly, immigrants workers fill closest in geographical contiguity among immigrants' types, while married immigrants recognize more different in cultural comparison than the former. Both immigrants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think living environments of Korea better than other types, but immigrants workers consider relatively higher the level of technology, while foreign students evaluate lower that of education in Korea than other types. Thirdly, married immigrants give a relatively low score to the easiness of immigration, while both immigrant workers and professional immigrants give a high score to the job environment of Korea. Finally, all types of immigrants show a high portion in a self-decision making for international migration, while professional immigrants have much more experiences on visiting other countries than other types, and both married 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seem to have utilized their networks with family members who live abroad.

이 연구는 초국적 이주자의 미시적 이주배경과 의사결정과정을 결혼이주자, 이주노동자, 전문직 이주자, 외국인 유학생 등 4가지 이주유형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첫째 본인의 직업이나 가정의 경제수준 및 소득원 등 미시적 이주 배경에 있어 결혼이주자와 이주노동자는 상대적으로 낮은 지위를 나타낸 반면, 전문직 이주자와 외국인 유학생은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한국에 관한 이미지에 있어 지리적 인접성에서는 이주노동자가 가장 가깝게 느낀 반면, 문화적 유사성에 있어서는 결혼이주자가 이주노동자에 비해 다소 더 상이하게 인식하고 있다. 이주노동자와 외국인 유학생은 한국의 생활환경에 대해 다른 유형들보다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이주노동자는 한국의 기술 수준을 높게 평가한 반면, 외국인 유학생은 교육 수준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했다. 셋째, 이주의 용이성 측면에서, 결혼이주자는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이주노동자와 전문직 이주자는 한국의 취업환경을 상대적으로 좋게 평가하고 있다. 넷째, 4가지 유형의 외국인 이주자들 모두에서 스스로 이주를 결정했다는 비율이 다른 사람들의 영향에 의해 결정했다는 비율보다도 더 높았다. 또한 전문직 이 주자는 다른 유형들에 비해 다른 국가를 방문한 경험이 월등히 높았지만, 결혼이주자와 외국인 유학생은 해외 거주 가족들과의 연계를 부분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