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daptation to Their Communities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ve increased since the mid-1990s in Korea. Thus,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has been a big social issue in Korea. There are a lot of academic researches on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so far. We cannot sufficiently understand general main factors of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because of methodological problems in the studies o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Particularly, 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adaptation to their communities. This study analyzes determinant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daptation to their communities, using stepwise multi-regression. Data are collected from questionary survey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Seoul, Gyeong-gi, Daegu, Gyeong-buk, Gwangju, Jeon-nam. Dependent variables are community life, spatial cognition and activities, and neighborhood relationship. Each dependent variable is analyzed with 30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stepwise multi-regression. As a result, 16 positive determinants and 2 negative ones are selected. Positive determinants are resident identity, age, adaptation to home, number of Korean friends and same nationals' friends in Korea and so on. But, Korean language fluence is not selected as a significant factor. This is different from a general recognition. As exiting researches, the importance of social network and adaptation variables is also identified in this study.

1990년대 중반 이후 결혼이주여성의 증가는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에 대하여 지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그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접근방법 등의 한계로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요인에 대한 충분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전국적으로 광범위한 결혼이주여성 대상의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들의 지역사회 적응에 미치는 유효한 요인들을 단계적 다중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이주여성의 연령과 본국에서의 직업 경력, 지역주민으로서의 정체성, 가정생활의 적응 정도, 배우자의 직업과 연령, 한국으로 결혼이주 전 한국에 대한 지식과 이미지, 국내의 한국인 및 출신국 친구, 주민모임에의 참여 여부 등이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추출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한국어 구사능력은 유효하지 않았다. 또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또는 본국인으로서의 정체성도 유효한 변수가 되지 못하였다. 전반적으로 이주 전 배경으로 보면,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지식 등이, 이주 후로 보면, 지역주민으로서의 정체성과 사회적 연결망이 지역사회 적응에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