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이동을 통한 주거 불안정성 변화에 관한 연구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여-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Housing Instability by the Residential Mobility of Low-Income Households

  • 노승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이희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Noh, Seung-Chul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Hee-Ye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9.12.31

초록

본 연구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주거이동을 통한 주거 불안정성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주거 불안정성은 주택의 노후도, 이사 횟수, 무주택 기간, 주거비 지불능력 등의 지표를 통해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빈곤층 가구 중 자가 가구는 노후화된 주택의 물리적인 측면에서, 차가 가구는 주거비 부담 측면에서 주거 불안정성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이동을 통한 주거 불안정성 변화 요인을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차가 가구의 경우 여성 가구주에 비해 남성 가구주일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상향이동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별로 보면 비수도권 시 도에 비해 광역시 및 수도권에서 자가 가구의 하향이동 비율이 높아지고 차가 가구의 상향이동 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대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빈곤층 가구들이 자력으로 주거 불안정성을 개선하는데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거주지의 일반주택비율이 높을수록 빈곤층 자가 가구와 차가 가구 모두 하향이동 확률이 낮아지며, 특히 차가 가구의 상향이동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곤층의 주거 불안정성 개선을 위해서는 아파트 위주의 주택공급보다 저소득층이 지불가능한 저렴한 주택 재고량을 유지시키는 정책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 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housing instability of low-income households through their residential mobility. The concept of housing instability is measur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housing types, number of moves, period of homelessness, and housing affordability index.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housing instability of low-income households owned their homes is mainly caused from their old housing built in at least 1980, and that of tenant households is due to the heavy burden of rent-to-income ratio. By using multinominal logit model, the study finds that low-income tenant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move upwards as they are man-headed, aged and relatively high-income if we categorize residential mobility into four types: upwards, equivalent, trade-off, and downwards migration. Considering that the share of homeowners moving downwards increases while the share of tenants moving upwards decreases as they reside increasingly nearby Seoul, the study finds that low-income households living in big cities are no better off to improve their residential instability for themselves than the low-incomes in local small and midium cities. Furthermore, both low-income owners and tenants are less likely to move downwards as the ratio of single-family housing in former residence increases. Such finding has a policy implication that government needs to maintain affordable single-family housing stock rather than supplying excessive unaffordable multi-family housing in order to enhance residential instability of low-incomes househol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