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lock-wise Skipping for Embedded Database System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위한 블록 단위 스키핑 기법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oday, most of all the query processors in the world generally use the 'Pipelining' method to acquire fast response time (first record latency) and less memory usage. Each of the operator nodes in the Query Execution Plan (QEP) provides Open(), Next(), and Close() functions for their interface to facilitate the iterator mechanism. However, the embedded database systems for the mobile devices, based on the FLASH memory, usually require a function like Previous(), which returns the previous records from current position. It is because that, in the embedded environment, the mobile devices cannot fully provide it main memory to store all the query results. So, whenever needed the previously read records the user (program) should re-fetch the previous records using the Previous() function: the BACKWARD data fetch.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Direction Switching Problem' caused by the Previous() function and suggest 'Block-wise Skipping' method to fully utilize the benefits of the block-based data transfer mechanism, which is widely accepted by most of the today'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s.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의 질의 수행은 대부분의 경우 빠른 응답시간과 더 적은 메모리 사용량을 장점으로 가지는 파이프라이닝 기법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질의 수행 계획(QEP)의 각각의 연산 노드들은 Open(), Next(), Close() 함수들을 지원하는 iterator의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그런데,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휴대용 기기들을 위한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는 iterator의 Next() 함수뿐만 아니라, 현재 레코드의 이전 레코드를 리턴해주는 Previous()와 같은 함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임베디드 환경의 경우 각각의 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의 양이 제한적이므로, 사용자가 이전 레코드를 요청하는 경우, 결과 레코드 커서가 현재 레코드를 기준으로 이전 레코드를 다시 가져와야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질의 수행 시 각각의 연산 노드들이 Next() 함수뿐만 아니라 Previous() 함수를 블록 단위로 지원할 수 있도록 새롭게 설계 구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향 전환 문제를 소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블록 단위 스키핑 기법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변시우, 플래시메모리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플래시 인지 트랜 잭션 관리 기법,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6권 제1호, 2005-02
  2. 변시우, 휴대용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지연된 소거 리스트를 이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쉐도우 페이징 기법,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Vol.13, No.2, 2006-06
  3. Sang-won Lee and Won Kim. On Flash-Based DBMSs: Issues for Architectural Re-Examination, In the Journal of Object Technology, Vol.6, No.8, September-October, 2007
  4. Sang-Won Lee, Bongki Moon Design of Flash-Based DBMS: An In-Page Logging Approach, SIGMOD. Beijing, China, June, 11-14, 2007 https://doi.org/10.1145/1247480.1247488
  5. 이수관, 민상렬, 조유근. 플래시 메모리 관련 최근 기술 동향. 정보과학회지 제24권 제12호, 2006. 12
  6. Sang-Won Lee, Gap-Joo Na, Jae-Myung Kim, Research Issues in Next Generation DBMS for Mobile Platforms, mobileHCI. Singapore, September, 9-12, 2007 https://doi.org/10.1145/1377999.1378054
  7. 노홍찬, 김승우, 김우철, 박상현, 플래시 메모리 상에서의 효율 적인 동작을 위한 수정 B-트리 인덱스, 한국정보과학회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C), 2006
  8. 나갑주, 이상원, 플래시메모리기반의 B+트리 알고리즘,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6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제7권 제1호, 2006. 04
  9. 박상원, 플래시메모리와 데이터베이스, 정보과학회지, 제25권 제6호, 2007. 06
  10. Abraham Silberschatz, Henry F. Korth, S. Sudarshan. Database System Concepts, Fourth Edition, McGraw-Hill, 2002
  11. 윤승희, 송하주, 플래시 메모리 기반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위한 지연쓰기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C), 2006
  12. 진희규, 이기용, 우경구, 박희선, “멀티미디어 CE기기를 위한 빠른 질의 복구 기법”, 정보과학회, 2008년 6월
  13. Ki Yong Lee, Hyojun Kim, Kyoung-Gu Woo, Hee-Seon Park, “AceDB Flashligh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lash-aware DBMS”, SAMSUNG Journal of Innovative Technology, Vol.4, No.1, February, 2008
  14. Hyojun Kim, Ki Yong Lee, Jung Jae Gyu, Kyoungil Bahng, “A New Transactional Flash Translation Layer For Embedded Database Systems Based on MLC NAND Flash Memor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umer Electronics, 2008 https://doi.org/10.1109/ICCE.2008.4587896
  15. S. K. Card, G. G. Robertson, and J. D. Mackinlay, “The information visualizer: An information workspace,” In Proceedings of ACM CHI '91 Conf., 1991, pp.181-188 https://doi.org/10.1145/108844.108874
  16. R. B. Miller, “Response time in man-computer conversational transactions,” Proc. AFIPS Fall Joint Computer Conference Vol.33, 1968, pp.267-277 https://doi.org/10.1145/1476589.1476628
  17. B. A. Myers, “The importance of percent-done progress indicators for computer-human interfaces,” Proc. ACM CHI '85 Conf., April, 1985, pp.11-17 https://doi.org/10.1145/317456.317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