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ontents, Depression in dental hygienists in D City

D도시에 종사하는 일부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련성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e degree of depression of dental hygienist was analyzed to reveal the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m. The self-administered between June 1st, and 30st, 2009, questionnaires were filled out from 221 dental hygienist in D City. 1.The distribution for depression degree has shown the rate as 79.1% in normal range group, 15.4% in mild depression group, 4.1% in moderate depression group and 1.4% in severe depression group, 2.As for depression, junior college, lower salary, poor sense satisfaction in work, not fit to the job, low personal relation with peer works or supervisors, poor subjective condition of health, without regular eating habits, without alcohol drinking, without regular exercise, in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job demand, lower job autonomy and lower supervisor support than their respective counterparts. 3.Concerning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various factors, while level of depression correlated with was negatively sense satisfaction, fit to the job, personal relation with peer works or supervisors, subjective condition of health, spervisor support, coworker support,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demand. Resulting from these results, in order to resolve depression properly,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of program should be renewed to improve various kinds of factors.

본 연구는 임상 치과위생사들의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D도시 소재 치과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21명을 대상으로 2009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치과위생사의 우울수준은 정상군 79.1%, 경도 우울군 15.4%, 중등도 우울군 4.1%, 중증 우울군 1.4%로 나타났다. 2. 우울수준은 전문대졸 이하 군일수록, 월평균급여가 적을수록,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만족하지 못하다"는 군일수록, 업무에 대한 적성이 "맞지 않는다"는 군일수록, 직장에서의 상사나 동료 간의 "유대관계가 좋지 않다"는 군일수록,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군일수록,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군일수록, 음주를 하는 군일수록,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 군일수록, 업무요구도가 높을 때, 업무자율성이 낮을 때, 직장 내 상사의 지지도가 낮을 때 우울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3. 우울수준과 관련변수들과의 상관관계는 업무에 대한 만족도, 업무에 대한 적성, 직장에서의 상사나 동료 간의 유대 관계, 주관적인 건강상태, 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요구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여러 요인들을 개선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시행 및 관리방안이 모색되어 향상을 통한 우울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연, 장세진, 김형렬, 노재훈. 서비스직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우울수준. 대한산업의학회지. :14(3):227-235, 2002.
  2. 김영철, 정향균, 이시형. 일반성인에서의 생활스트레스가 정신건강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28(2):282-291, 1989.
  3. Cooper CL. The stress check. New Jersey, Prentice Hall, Spectrum. 1981.
  4. Public Health Service. Healthy people 2000:national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objectives.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1.
  5. 이경순. 간호원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6. 이영수. 일부 산업장근로자들에 있어서 스트레스 자각정도와 건강습관과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23(1):33-42, 1990.
  7. 정기택. 의료시장 개방과 관련된 변화와 적극적 대응의 필요성. 예방의학회지.:37(1):1-5,2004.
  8. 권수진. 치과위생사 근로생활의 질(QWL)의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9. 이선미. 치과위생사의 업무스트레스 및 강인성과 소진에 관한연구. 한국구강건강증진학회지. :1(1):1-12, 2000.
  10. Hauenstein EJ, Boyd MR. Depressive symptoms in young women of the Piedmont prevalence in rural women. Women Health.:21(2-3):105-123, 1994. https://doi.org/10.1300/J013v21n02_07
  11. 이미옥. 임상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2. 김진원.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13. Aneshensel CS. Social stress: Theory and research. Ann Rev Sociol .:18(1):15-38, 1992. https://doi.org/10.1146/annurev.so.18.080192.000311
  14. Karasek RA, Theorell T, Schwartz JE, Schnall PL, Pieper CF, Michela JL. Job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prevalence of myocardial infarction in the US Health Examination Survey(HES) and the Health and Nutrition Survey (HANES). Am J Public Health.:78(8):910-918, 1988. https://doi.org/10.2105/AJPH.78.8.910
  15. Chang SJ.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Risk Factors for Psychosocial Distress, and the Development Worksite Stress Reduction Program.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1.
  16. Zung WWK.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 Gen Psychiatry.:12(1):63-70, 1965. https://doi.org/10.1001/archpsyc.1965.01720310065008
  17. Beck AT.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a cognitive model : The psychology of depress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 John Wiley and Sons, 1974.
  18. Blehar,M.C.&Oren,D.A. Gender difference in depression. Medscape womens Health.:2(2):3, 1997.
  19. 이미옥, 류소연, 변익건, 박정희. 일부 임상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조선의대논문집.:29(2):26-37, 2004.
  20. 이동수, 김지혜.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성별에 따른 자존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39(6):999-1009, 2000.
  21. 정수정.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유형과 대인관계 및 우울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2. 한미진. 여성노인의 수면과 인지기능, 우울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23. 윤현숙.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사회심리적 요인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4. LaRocco JM, House JS, French JR Jr. Social support,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J Health Soc Behav.:21(3):202-218, 1980. https://doi.org/10.2307/2136616

Cited by

  1. A Study on Drinking Problems and Depression for Drinking Habits of the College Students vol.13, pp.3,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3.1138
  2.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motiva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vol.14, pp.4,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4.503
  3. Effects of Job Stress and Supervisory Support on Depression of Care 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vol.24, pp.4, 2015, https://doi.org/10.5807/kjohn.2015.24.4.352
  4. What causes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non-regular workers? vol.29, pp.1, 2017, https://doi.org/10.1186/s40557-017-019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