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Entertainment and Economical Efficiency on the Mobile Advertising Value and Intention

모바일 광고가치와 접속의도에 유희성과 경제성 변수가 미치는 영향 분석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ables that affect users' perceived value of mobile advertising and actual response intention and to analyz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al significance, we built new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based on the Ducoffe's model(1996). And we found out four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entertainment, information usefulness, convenience, economical efficiency, and advertising impact's value as a mediating variable. Especially, we classified into four multi-age groups to investigate properly moderating effects through SEM(path analysis) and difference test. Therefore, it is academical and practical worth that we developed our model to appropriate on mobile advertising's unique property and that we verified our hypotheses and variables focused on age group, whereas previous research did not. For this, we surveyed 345 samples for conduc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empirical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all hypotheses except but conven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광고가치 인식과 실제 응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탐색하고,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종속변수인 사용자 응답의도와 독립변수 간의 관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Ducoffe(1996)의 광고효과 모형을 기저모형으로 채택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주요 독립변수는 유희성, 조작편리성, 정보유용성, 경제성이며, 매개변수로 사용자 광고가치를 개념화 하였다. 특히, 구조모형 경로분석과 조절집단 차이검증 분석을 통해 최적의 연구모형을 도출하였고, 연령별 집단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연령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의 고유한 특성에 대해, 지금까지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았던 광고가치라는 매개변수의 역할과 연령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그리고 실용적 가치가 있다. 345개 표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조작편리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의 유의성이 판명되었고, 연령별 집단 간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희성, “NEOPAD: 모바일 인터넷 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처리학회지, 제7권 제4호, pp.70-78, 2000
  2. 이홍일 외, “모바일 경로와 기법으로 본 모바일 광고 유형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제14권 제2호, pp.49-70, 2007
  3. R. Ducoffe,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6, No.5, pp. 21-35, 1996
  4. F.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9), pp.319-339,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5. 유제국, “모바일 광고의 현황과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 제13권 제14호. 2001
  6. 이경렬, “SMS기반의 모바일 광고의 효과 및 수용성에 관한 실증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14권 제2호, pp.27-45, 2006
  7. 한세준, “새로운 광고형태로서의 모바일 광고”, 디지털디자인학연구(3), pp.67-73, 2002
  8. 탁진영 외, “모바일 광고의 설득효과에 관한 탐사적 연구: 관여도와 수동적 학습이론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1호, pp. 265-300, 2005
  9. Carat Interactive, “The Future of Wireless Marketing,” pp.1-11, 2002
  10. 박찬욱, “모바일 마케팅,” 시그마 인사이트, 2002
  11. P. Kavassalis, N. Spyropopoulou, D. Drossos, K. Mitrokostas, G. Gikas, and A. Hatzistamai Lou, “Mobile Permission Marketing: Framing the Market I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8, No.1, pp.55-79, 2003
  12. B. Homer,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Some Additional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9, No.1, pp. 78-86, 1997
  13. P. Howard, “Consumer Behavior: Application of Theory,”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1990
  14. 김봉철, “모바일광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Ducoffe(1996)의 웹 광고효과 모델 확장 적용”, 광고연구, pp.35-59, 2007
  15. S. Okazaki, “How Do Japanese Consumers Perceive Wireless Ads?: A Multivariat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23, 429-454, 2004 https://doi.org/10.1080/02650487.2004.11072894
  16. Tsang, Melody et. al., “Consumer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8, Issue3, pp. 65-78, 2004
  17. L. Brackett and B. Carr, “Cyber Space Advertising vs. Other Media: Consumer vs. Mature Student Attitud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41, No.5, pp.23-32, 2001
  18. 이원범 외, “모바일 미디어 콘텐츠의 광고유형과 가능적 특성이 모바일 마케팅 전략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7권 제3호, pp.213-225, 2007
  19. G. Bruner II and A. Kumar, “Web Commercials and Advertising Hierarchy of Effec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7, pp. 35-42, 2000
  20. J. Eighmey and L. McCord, “Adding Value in the Information Age: Uses and Gratifications of Sites on then World Wide Web,”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41, pp. 187-194, 1998 https://doi.org/10.1016/S0148-2963(97)00061-1
  21. Tarasewick et al, “Issues in Mobile E-commerc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8, pp. 41-64, 2000
  22. 박철우 외, “정보가치 관점에서 바라본 모바일 광고 가치의 설명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8권 제2호, pp.29-49, 2006
  23. M. Kim and S. Lennon, “Television Shopping for Apparel in the United States: Effects of Perceived Amount of Information on Perceived Risks and Purchase Intention,”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Vol.28, No.3, pp.301-330, 2000 https://doi.org/10.1177/1077727X00283002
  24. T. Shimp and J. Yokum, “The Influence of Deceptive Advertising on Repeat Purchase Behavior,”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p.266-270, 1981
  25.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데이터솔루션, 2001
  26. P. Bentler and D. Bonnet,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Vol.88, No.3, pp.588-606, 1980 https://doi.org/10.1037/0033-2909.88.3.588
  27. 김대업.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학현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