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건강습관에 따른 양생수준 연구

A Study on Life Nurturing of Industrial Workers according to Health Practice

  • 이정한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Lee, Jeong-Han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투고 : 2008.12.17
  • 심사 : 2009.01.18
  • 발행 : 2009.01.13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e out life nurturing level according to health practice. Methods :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114 industrial worker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construc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Results :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nurturing level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age, marital status, job tenures, income. 2. The higher life nurturing level was showed in high aged, married, long job tenures and high income group.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nurturing level according to health practice, especially non-smoking, non-drinking, regular exercise and sufficient sleeping group were higher in life nurturing leve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health practice is related to life nurturing level and that the introduction of desirable health practice can contribute to life nurturing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인의 주요 상병 및 건강행태 분석-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부문 심층분석 결과.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37-310.
  2. 윤장훈.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성인병과 건강습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1-4.
  3. Belloc NB, Breslow L. Relationship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Prev Med. 1972;1(3):409-21. https://doi.org/10.1016/0091-7435(72)90014-X
  4. Metzner HL, Carman WJ, House J. Health practices risk factors and chronic disease in techmsch. Prevent Med. 1983;12(8):491-507. https://doi.org/10.1016/0091-7435(83)90204-9
  5. 심재용, 이정권, 박훈기, 김수영, 원장원, 선우성. 한국형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의 개발. 가정의학회지. 1999;20(10):1197-208.
  6. 권소희, 이기남. 일부 노인의 양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6;27(1):104-17.
  7. 김애정. 양생(養生)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4;34(5):729-38.
  8. 남정자, 최정수, 김태정, 계훈방. 한국인의 보건의식형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65-152.
  9. Lalonde M.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28 years later. Pa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2;12(3):149-52. https://doi.org/10.1590/S1020-49892002000900001
  10. 문상식, 이시백.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검진 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건강행위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1;18(3):11-36.
  11. 박을규. 황제내경의 양생사상에 관한 연구. 대한한약. 2002;6:274-93.
  12. 배재룡, 정명수, 이기남. 일부 생산직 근로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양생수준과의 관계.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8;12(1):1-17.
  13. 안훈모, 김성삼, 김완겸, 유호달, 정명수, 이기남. 근로자의 양생수준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7;10(1):100-29.
  14. 박정은, 유성기, 이형범, 정명수, 이기남. 근로자의 양생수준과 비만과의 관계.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7;10(1):46-73.
  15. 최은경, 권소희, 김애정, 박준상, 박재수, 이기남. 도시지역 노인들의 건강실태와 양생수준과의 관련성.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5;8(1):96-114.
  16. Sherbourne CD. Hays RD. Marutal status, social support and health transitions in chronic disease patients. Jr Health and Social Behavoir. 1990;31:328-43. https://doi.org/10.2307/2136817
  17. Kessler RC, Essex M. Marital status, life strains and depression. Social Forces. 1981;10:187-210. https://doi.org/10.2307/2570246
  18. 박희숙, 이원철, 이철, 맹광호. 일부 산업장 생산직 근로자와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염려 및 신체화 경향 비교. 한국역학회지. 1995;17(2):225-34.
  19. 차봉석, 고상백, 장세진, 박종구, 강명근. SF-36을 이용한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1):9-19.
  20. Revicki D, Sobal J, Deforg B. Smoking and the practice of othe unhealthy behaviors. Farm Med. 1991;23:361-4.
  21. Willard JC, Schoenborn CA. Relationship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other unhealthy behaviors among our nation's youth. Adv Data. 1995;24(263):1-11.
  22. 이원재, 반덕진. 음주감소를 위한 정책방향.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6;13(2):101-5.
  23. Mersy D.J. Health benefits of aerobic exercise. Postgraduate Medicine. 1991;90(1):103-7.
  24. 김남지, 서일. 직장인들의 운동실천 정도와 스트레스의 관련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4;21(2):101-15.
  25. 최지영. 일부 자동차 공장 근로자들의 직종별 생활습관과 양생수준 평가.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1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