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 주입 시 배출특성에 대한 축분자원화물 연구

A Study on the Livestock Resources regarding on the Discharging Characteristics from Farm Land

  • 임재명 (강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 이영신 (한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 한기봉 (가톨릭대학교 생명.환경공학부 환경공학전공 청정환경연구실)
  • 투고 : 2009.12.03
  • 심사 : 2009.12.28
  • 발행 : 2009.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축산자원화물을 농지에 주입 시 유출 및 침출에 의하여 삭감되는 축분자원화물의 전환율을 산정하고자 실험실 시험을 실시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농지로부터 유출유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침투수의 유량은 강우강도 20mm/hr 미만에서는 강우의 대부분이 지하로 침투하였으며, 32.4mm/hr 이상의 강우강도에서는 5.0L로서 거의 유사하거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의 구성성분과 다짐의 정도가 유사할 경우 표면유출은 강우강도의 크기에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액비를 시비한 경우, 표면유출수의 유량은 퇴비를 시비한 반응조와 거의 유사하였으며, 침투수의 유량은 퇴비 시비시보다 작게 나타났다. 오염물질의 항목에 따른 농지유출비는 BOD가 0.00003, $COD_{cr}$은 0.00006, TN은 0.00056, TP는 0.00011, 그리고 TOC는 0.00005로서 항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특히, TN 유출비는 타 항목에 비하여 10배 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다. 한편, SS의 경우 농지유출비는 0.001로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시비된 오염물질의 유출이라기보다는 토양자체의 미세한 콜로이드성 입자의 유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32.4~57.1mm/hr의 모든 강우강도를 고려할 때, 자원화물이 농지에서 삭감되는 농지 삭감비는 BOD의 경우 퇴비는 94.9~98.4%, 액비는 85.8~98.1%의 높은 범위를 보였다. TN은 퇴비의 경우 96.6~98.4%의 범위를 보였으며, 액비의 농지 삭감율은 97.2~98.5%의 범위로서 대부분의 자원화물이 농지에서 삭감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n this study, to estimate the transforming (runoff and leachate) rate of the organic fertilizer made of livestock resources to farm land, laboratory scale test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The runoff volume from farm land showed the tendency of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rainfall intensity. The most rainfall leachated into the underground at the rainfall intensity of 20mm/hr, and rainfall of 5L or less leachated at the rainfall intensity of > 32.4 mm/hr. This shows that surface runoff largely depends on the rainfall intensity when soil characteristic and hardness are similar in each site. When liquid compost was fertilized, the surface runoff was similar with the results from the reactor fertilized by compost, and leachate flow was found to be lower than compost. The runoff ratio of contaminant parameters from farm land were BOD 0.00003,, $COD_{cr}$ 0.00006, TN 0.00056, TP 0.00011, TOC 0.00005, Especially, the runoff ratio of TN showed 10 folds higher than other parameters. On the other hand, the runoff ratio of SS showed higher value of 0.001, and colloid particles of soil caused this result rather than the leachate from compost fertilizer. At all ranges of rainfall intensity, fertilizer removal ratio by farm land was found to be 94.9~98.4% for compost and 85.8~98.1% for liquid compost in terms of BOD. For TN, it resulted in 96.6~98.4% for compost and 97.2~98.5% for liquid compost, and thus the most fertilizer from livestock resources were shown to be reduced through farm land appli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환경연구원, 축산폐기물 현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 pp. 56-96 (1986).
  2. 최홍림. 우리나라 가축분뇨 대책, 농어촌과 환경, vol 10(2), pp. 16-28 (2000).
  3. 가축분뇨자원화협회. 환경축산 무엇이 문제인가 심포지움 발표자료 모음집 (1997).
  4. 환경부. 축산폐수배출시설 및 처리시설 관리개선 방안 연구 (2003).
  5. 축산기술연구소, 가축분뇨 자원화 및 이용기술 개발연구 (2003).
  6. 권순익, 정광용. 유기성 폐기물 비료성분 표준 단위 설정, 농업과학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pp. 74-100 (1994).
  7. 한국환경과학협의회, 영양염류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1991).
  8. 홍성구, 이남호, 축분퇴비의 농지환원 시 오염 부하 포텐셜 평가, 한국농공학회지, vol. 43(1). pp. 66-74 (2001).
  9. 최의소, 영양염류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 (1991).
  10. EPA. National Pollution Discharge Elimination System: NPDES(1991)
  11. 홍성구. 인공강우를 이용한 축종별 축분퇴비 침출수의 수질특성 조사, 농촌계획학회, (2001).
  12. 박영상, 축산환원농지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부하특성. (2005).
  13. 한국수자원공사. 다목적댐 홍수조절용지 내 경작관련 호소수질에 미치는 영향조사. (2003).
  14.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법. (2005).
  15. APHA,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1998).
  16. 최의소, 음영진, 지속발전을 위한 축산분뇨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2001).
  17. 농림부, 가축분뇨 자원화 및 이용기술 개발. (2000).
  18. 환경부, 낙동강수계 물관리종합대책 (1999).
  19. 환경부, 대청호 등 금강수계 물관리종합대책 (1999).
  20. 환경부, 오염총량관리계획 수립지침, pp. 5-23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