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tal Service System and Oral Health Providers in Correctional Institutions

구금시설의 치과진료체계 및 구강보건의료인력 현황 조사

  • Kang, Jung-Y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Young-Hy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Oh, Kyung-S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Jo, Yeon-Su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Min-S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Nam-He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강정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
  • 김영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
  • 오경선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
  • 조연숙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
  • 이민선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
  • 김남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09.10.15
  • Accepted : 2009.12.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ntal service system in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10 find the factors for improving inmates' oral health. This study is comprised of document review, telephone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of questionnaire survey are public health dentists and doctors in correctional institutions.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 and the survey was collect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selected information about the dental service syste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 Documentary survey 1. According to 2004's study, there are 42 dental offices in 46 all correctional institutions. 2. Criminals who took an health examination occupied 69.0% when committed to a jail in 2002's study. Majorities of them(81.5%) responded that they didn't take any oral examination. Telephone & Questionnaire survey 1. Full-time public health dentists are 26 in 2009. There is no correctional institution having oral health providers in 26 correctional institutions surveyed. 2 About 10 patients use the dental services in a day. Part-time dentists visit 4 times a month as average in 80% of institutions. 40% of institutions responded dental treatments can't be progressed conveniently because of the lack of oral health providers. 3. 80%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is hard to cure prisoners, and that's because they are forbidden to get out of the institutions. 4. Only 20%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offered the oral hygiene instructions. There is no regular oral hygiene education for all inmates. 5. They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oral health providers.

우리나라 구금시설은 구강건강 관리 인력과 시설이 부족하고, 수용자의 구강질료 시 절차가 복잡하여 필요할 때 적절한 진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편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수용자의 건강권이 충분히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정보노출을 기피하는 구금시설로부터 수용자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는 것도 어렵다. 따라서 수용자의 전신건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며, 구강건강에 관한 논문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에 이 연구는 구금시설 내 치과진료체계 및 구강보건의료인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조사, 전화 및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하는 바이다. 1) 문헌조사 1. 2002년 당시 수용자의 69.0%가 입소 시에 건강검진을 받았지만, 구강검진은 18.5%만이 받았다. 2. 2004년 당시 전체 46개 구금시설 중 42개에 치과의무실이 설치되어 있었다. 2) 전화 및 설문조사 1. 2009년 현재 총 26명의 전임 치과 공중보건의사가 배치되어 있었으며, 구강보건의료인력을 모두 갖춘 곳은 한 곳도 없었다. 2. 하루 평균 약 10명의 수용자가 구강진료를 받고 있었고, 외부의 치과의사는 한 달에 평균 4회 방문하였다. 그리고 '구강진료의료인력 부족'으로 인해 치과진료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다고 여기고 있었다. 3. 수용자의 외부진료가 대부분 수월하지 않다고 답하였고, 그 주된 이유로는 '환자의 출입이 통제되어서'라고 응답하였다. 4. 구강보건교육은 일부 치과의사가 진료 시에 수행하고 있었으나, 전체 수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기적인 구강보건교육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무엇보다 구금시설 수용자의 의료처우 개선과 구강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수용자의 구강건강 요구도 등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이 연구는 앞으로 구금시설의 치과진료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수용자의 구강건강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Lee YG: Improvement plan of treatment in Korean correctional institutions.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1:140-170, 1991.
  2. Woo WK: Medical systems and an improvement program of prison. Government authorization - inspection policy data book pp. 1-6, 2004.
  3. Pallasch TJ. Slots J: Oral microorganisms and cardiovascular disease. J Calif Dent Assoc 28(3): 204-214, 2000.
  4. Ueta E. et al.: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in odontogenic infections and oral candidiasis and analysis of neutrophil suppression. J Oral Pathol Med 22(4): 168-174, 1993. https://doi.org/10.1111/j.1600-0714.1993.tb01051.x
  5. Kim JB. et al.: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3rd ed. KMS. Seoul. pp. 5-6, 2003.
  6. Cho YH, Seung SM: Review on correctional health care of custody facilities. J Korean Soe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10(2): 61-73, 1996.
  7. Kim JB, et al.: A study on the prison medical status inspection and medical right guarante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eoul. pp. 74-131, 2002.
  8.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hite Paper pp. 791, 2007.
  9. KHIDI: A Study on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 Arrange system for Public Health Doctors. 1st ed. KHIDI, Seoul, pp.120-121, 2005.
  10. Cha GB: An adult education methodology. 1st ed. Yangseowon, Seoul, pp. 68,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