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Music-Based Group Reminiscence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Hospitalized Elderly People

음악을 활용한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입원노인의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효과

  • Jung, Yong (Department of Nursing, St. John of God Hospital) ;
  • Choi, Mi Hye (Department of Nursing, Chung-Ang University)
  • 정용 (천주의성요한병원) ;
  • 최미혜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Received : 2009.09.29
  • Accepted : 2009.10.23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usic-based group reminiscence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who are hospitalized. Method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as implemented, an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52 elder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and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26) and the control group (26). Both groups took the pre and posttest at the same time, and both groups received regular hospital car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for 12 sessions over six week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Interpersonal Change Scale by Schlein and Guerney (1971), for self-esteem, the Self-Esteem Scale by Rosenberg (1965) and for depression, the Depression Inventory by Zung (196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5.0 program.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bet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ignificantly higher self-esteem and less depressi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a music-based group reminiscenc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hospitalized elders.

Keywords

References

  1. 경현옥(2007).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복지시설에 미치는 영향-노인요양시설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 권중돈, 고효진, 임송은, 이성희, 장우심, 이유진(2002). 치매와 가족. 서울: 학지사.
  3. 김성연(2008). 회상을 활용한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4. 김영숙(2004). 시설 노인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음악치료 사례 연구-회상을 위주로 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익산.
  5. 김혜경, 박현옥(2000). 음악치료의 구조와 치료 실체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연구, 3(1), 151-183.
  6.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7. 보건복지가족부(2009). 노인돌봄기본서비스의 실제: 기본서비스. 2009.3.11. http://www.mw.go.kr/front/jb/sjb0501ls.jsp?PAR_MENU_ID=03&MENU_ID=030501에서 인출.
  8. 성기월(1997).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과 우울 정도. 대한간호학회지, 27(1), 36-48.
  9. 송미순(1991). 노인의 생활기능상태 예측모형 구축.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서울.
  10. 송미순, 하양숙, 유수정, 박연환(2004). 노인간호학(개정판).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1. 양광희, 김시현, 김옥숙, 김옥현, 김춘길, 김현숙 등(2001). 노인건강관리의 실제와 전망. 서울: 수문사.
  12. 양혜경(2006). 음악을 활용한 치료레크리에이션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회지, 26(4), 749-765.
  13. 위 휘(2008). 전래놀이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서, 대인관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4. 윤 진(1986). 성인 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5. 이선미(2000). 개인회상요법이 입원노인환자의 무력감,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6. 이성미(2007).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모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17. 임영숙(2001). 간호중재로서의 음악치료. 서울: 현문사.
  18. 전석균(1995).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9. 전시자(1989). 회상의 내용분석 및 간호적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 정윤(2009). 시설거주 노인과 재가노인의 자아존중감 비교연구.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산.
  21. 최숙리(2007). 회상을 활용한 집단 상담이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복지관 이용 여성 노인을 중심으로-.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2. 최영희, 안은숙(1999). 노인의 자긍심, 무력감, 의존성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11(1), 96-107.
  23. 통계청(2006). 장래인구추계. 2008.10.10. http://www.kosis.kr/domestic/theme/do01_index.jsp에서 인출
  2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 Davis, W. B., Gfeller, K. E., Thaut, M. H. (1999). An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2nd ed.). Boston, MA: McGraw-Hill.
  26. Gabbard, G. O. (1996). 역동정신의학 (이정태, 채영래 역). 서울: 하나의학사(원저 1994 출판).
  27.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Schlein, S., & Guerney, B. G. (1971). Relationship Enhancemen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9. Zung, W. W.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2, 63-70. https://doi.org/10.1001/archpsyc.1965.01720310065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