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eriment of Discomfort Glare from Non-uniform Glare Source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창면의 불쾌글레어 평가실험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Impact of daylighting on the visual environment can improve occupant's well-being by providing visual comfort. Also, daylighting can save energy. However, glare from window can be a direct hazard to vision and can cause serious discomfort. Selecting glare source on a window plane is very important for evaluating discomfort glare from windows. But former glare indices can not identify the range of the glare source properly. In this study, difference in glare sensation with uniform and non-uniform glare sources are evaluated to identify the range of the glare source. The glare source was assumed as $120{\times}120[cm]$ window model. The window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with different luminance valu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1[m], 1.5[m], 3[m] distance from the glare source. Two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First, the degree of discomfort glare increased as average window luminance increased. Second, the middle and lower part of the window plane can affect evaluation of discomfort glare as well as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plan.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selecting the glare source in a window with non-uniform luminance.

자연채광은 건물 재실자에게 시각적 편안함과 쾌적함을 제공하여 건강성을 향상시키며 조명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중요한 조명환경 요소이다. 자연광에 의해 발생되는 창면에서의 글레어는 장시간 노출될 시 시각의 저하, 시각적 불쾌감의 원인이 된다. 창면에 의한 불쾌글레어 평가시에는 창면에서 글레어 광원을 어떻게 선별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이다. 기존의 불쾌글레어 평가법을 적용하더라도 글레어 광원을 한정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글레어 광원 선별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불균일한 대광원의 휘도차가 불쾌글레어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120{\times}120[cm]$의 정사각형 모형창을 제작하였다. 실험변수는 균일과 불균일한 휘도분포의 광원의 휘도비와 광원크기로 선정하였다. 실험방법은 모형창을 3분할한 후, 각기 다른 휘도비를 설정하여, 1[m], 1.5[m], 3[m] 거리에서 불쾌글레어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두 개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광원의 평균휘도가 증가할수록 불쾌글레어 평가값이 증가하였으며, 둘째, 창면 상부의 천공 부분만을 글레어 광원으로 볼 수 없으며 하부면도 블쾌글레어 평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채광창으로부터의 불쾌글레어 평가 시 글레어 광원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CIE S 008/E-2001, "Lighting of indoor work places", CIE 2001
  2. 이진숙, 김원도, "조명광원의 휘도 및 면적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감의 영향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3권, 제12호, 2007
  3. 김원우, 김정태. "창면의 상하부 휘도차에 따른 글레어 광원의 인식 변화",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2007.08
  4. Hopkinson R.G., Bradley R.C., "A Study of glare from very large sources, Illumination Engineering, 1960, 55, pp.291
  5. 이진숙, 김병수, 김선화, "창면불쾌글레어 평가를 위한 인공창 실험의 타당성 검토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2003.12
  6. 김원우, 신인중, " 불균일한 휘도분포를 갖는 글레어 광원의 등가크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5.01
  7. 이진숙, 김병수, 김선화, "창의 면적, 위치, 개수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감의 영향평가", 대한건축학회 계획계, 제21권 6호, 2005
  8. 김원우. 신인중, "채광창의 평균휘도가 불쾌글레어의 주관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04.06
  9. 김원우, 김정태, "대광원의 상하부 휘도차가 불쾌글레어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7.10
  10. 김원우, 신주영, 김정태, "불쾌글레어의 주관적 평가를 위한 한국어 척도 평가",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07.04, pp.367-375
  11. CIE117-1995, "Discomfort glare in interior lighting", 1995
  12. Hokinson R. G, "Glare from daylighting in buildings" Appl.Ergon, 1972.03, pp.206-215
  13. Tuaycharoen N, Tregenza PR, "View and discomfort glare from windows" Lighting Res. Technol, 39-2, 2007, pp.185-200 https://doi.org/10.1177/1365782807077193
  14. Nazzal A., "A new evaluation method for daylight discomfort glar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5, 2005, pp.295-306 https://doi.org/10.1016/j.ergon.2004.08.010
  15. Waters C,E., Mistrick R,G,m Bernecjer C.A, "Discomfort glare from sources of nonuniform luminance, Jillum.eng.soc, 1995, 24(2)
  16. Wonwoo Kim, Hyun Tae Ahn, Jeong Tai Kim, "A first approach to discomfort glare in the presence of non-uniform luminance" Building and Environment, 43,2008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7.1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