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stry teachers' perceptions on aims, contents, and evaluations of the 7th Chemistry I Curriculum and realities of instruction in classrooms

제7차 화학 I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및 평가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의 실제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imate the chemistry teacher's perceptions of Chemistry I course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rough actual class teaching situations and interviews and teaching guidance of an actual class through a lesson and an interview. For this research, four chemistry teachers who have had an experience teaching the chemistry I course were selected.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chemistry teachers had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the Chemistry I course, but they were teaching the concepts of Chemistry II . They thought the reason for the teaching was the national scholastic aptitude test. But according to analysis,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tests were hardly beyond the limit of Chemistry I course. For this research, the chemistry teachers looked for the purpose of Chemistry I course based on the 7th curriculum only at the superficial views, and the teacher's wrong understanding about the tests disturbed the revelation of the spirit of Chemistry I cours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수업을 통해 이루어진 교수 상황과 면담을 통하여 제7차 화학I 교육과정이 화학 교사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화학I 교과를 가르쳐 본 경험을 가지고 있는 4명의 화학 교사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화학 교사들은 제7차 교육과정 화학I 의 목표를 바르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수업에서는 화학II 교과에 제시하는 개념들까지도 다루는 설명식 수업을 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그 이유가 대학수학능력시험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기출문제를 분석한 결과, 화학I 교과를 벗어난 내용은 거의 없었다. 이를 통해 화학교사들은 제7차 화학I 교육과정의 목적을 피상적인 지식으로만 알고 있을 뿐 내면화하지 못하고 있으며, 평가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7차 교육과정의 화학I 교과의 정신을 발현하는데 방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석, 이자현(2006).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수 전문성의 재개념화. 교육과정연구, 24(1), 153-180
  2. 강현석, 이순옥(2007).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과서 진술 방식의 탐구. 초등교육연구, 20(3), 177-207
  3.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9. 교육부
  4. 교육부(2000).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과학,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교육부
  5. 김대현, 박경미(2003).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정연구, 21(2), 23-49
  6. 김자영과 김정효(2003).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0(2), 77-96
  7. 노태희, 권혁순, 김혜경, 박승재(2000). 제6차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실천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20-28
  8. 박성희(2004).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원미사
  9. 백종철(2007). 제7차 화학Ⅰ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 및 운영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서경혜(2005).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교육과정연구, 23(2), 285-310
  11. 이용숙, 김영미, 김영천, 이혁규, 조덕주(2004).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연구와 교육실천의 연계성 강화: 교육대학원 논문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12(1), 363-402
  12. 이은주, 조영자, 김은숙, 유란영, 김동진, 박국태(2007). 화학Ⅰ 교과에 대한 화 학 교사들의 인식과 학습 지도 방식에 대한 조사. 대한화학회지, 51(1), 73-81 https://doi.org/10.5012/jkcs.2007.51.1.073
  13. 한혜정(2006). 교육과정연구의 질적 연구에서 '자서전적 방법'이 가지는 의의. 교육과정연구, 24(2), 71-86
  14. 홍은숙(1999). 지식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5. Adler, S.(1991). The reflective practitioner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17(1), 139-150 https://doi.org/10.1080/0260747910170203
  16. Ben-Peretz, M.(1990). The teachercurriculum encounter: Freeing teachers from the tyranny of texts. New York: SUNY Press
  17. Bogdan, R. C. & Biklen, S. K.(1992).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Boston: Allyn & Bacon
  18. Clandinin, D. J.(1985).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 study of teacher's classroom image. Curriculum Inquiry. 15(4), 361-385 https://doi.org/10.2307/1179683
  19. Clandinin, D. J. & Connelly, F. M.(1986). On the narrative method, personal philosophy, and narrative units in the story of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4), 293-310 https://doi.org/10.1002/tea.3660230404
  20. Clandinin, D. J. & Connelly, F. M.(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21. Cole, A. L. & Knowles, J. G.(2002). Researching teaching, New York: Allym & Bacem
  22. Connelly, F. M. & Clandinin, D. J.(1988). Teachers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ience. New York & London: Teachers College Press
  23. Colton, A. B. & Sparks-Langer, G. M.(1993). A conceptional framework to guide the development of teacher reflection and decision mak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1), 45-54 https://doi.org/10.1177/0022487193044001007
  24. Elbaz. F.(1983). Teacher thinking: 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New York: Nichols
  25. Emery, W. G.(1996). Teacher's critical reflection through expert talk.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7(2), 110-119 https://doi.org/10.1177/0022487196047002004
  26.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27. Paris, C. L.(1993). Teacher agency and curriculum making in classroom. New York & London: Teachers College Press
  28. Pultorak, E. G.(1996). Follow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eflection in novice teachers: Three years of investig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7(4), 288-295 https://doi.org/10.1177/0022487196474006
  29. Schon, D. A.(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30. Zeichner, K. M. & Liston, D. P.(1987). Teaching student teachers to reflect.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23-48 https://doi.org/10.17763/haer.57.1.j18v7162275t1w3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