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Composition Based on Placement and Harmony in the Namgea Suhwon

치(置)와 화(和)의 개념으로 분석한 남계서원의 경관짜임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rinciples of landscape composition for a 'Suhwon(書院)' and the meaning and value of its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in order to apply the results to the design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A 'Suhwon' is a vital space containing the form and meaning of human activity.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composi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Namgea Suhwon, located in Hamyang, by examining the form and meaning of its area and composition. The Namgea Suhwon was constructed with a suitable configuration and harmony in a good location, neither field nor mountain, and which encompasses transcendence and a return after passage through a period of birth and abundance. Its appearance means 'life existence and hidden death(生居死幽)'. Its spatial system is a reflection of the idea of Samshinoje(三神五帝: The three abilities of Providence and its five subjects) connected with Ilsangje -Samshin -Ohje. It was built based on the idea of Biryebudong(非禮不動) meaning that one should follow only good decorum and avoid discourtesy, complying with "the frame of decorum" developed by the family rites of Chu Hsi. The environmental design of the Namgea Suhwon was interrupted by the material confrontation between mountains and water and a binary code system, such as front to rear, length to breadth, and movement to stillness. The design did not adhere to stiff axes, but pursued the harmonic principles of asymmetric balance in the building and the yard, which are very naturalistic. The name 'Namgea Suhw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view of placement(置) and harmony(和), which are unified with the function and meaning formed by connecting Sung Confucianism with the Pungsu-Sasinsa structure in the layout of the grounds. When examining the D/H ratio of the building and yard, it can be seen that the spaces of Ganghak, Yusang and Jehyang were buil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such as a sense of openness, enclosure, tension, relief, enhancement, and hierarchical order. The spaces also reflect human scale concepts that take advantage of auditory features. The transition process after the construction of 'Namgea Suhwon' reveals the intentions of the builder to create an ecological landscape composition based on Placement and Harmony. Placement embodies' a purposeful space in which nature and the building are connected naturally, 'incomplete open space pursuing completion', and 'potential beauty in which tension and relaxation are repeated'. Harmony embodies 'order and continuity having a sense of unity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sharing of daily life and memory'. 'Namgea Suhwon' contains many ideas for landscape planning, land use and the design of a campus environment.

본 연구는 인간 활동을 담는 형식과 의미의 총체라 할 수 있는 서원, 그 중에서도 경상남도 함양의 남계서원을 대상으로 공간 및 시각구성상에 내재된 형식미와 의미 파악을 통해 서원 조영에 담겨진 경관짜임 원리를 풀이하고 현대 유사 전통적 공간의 경관설계 시 적용하기 위한 착안점을 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남계서원은 생성과 풍요를 거쳐 초월과 회귀로 이어지는 비산비야(非山非野)의 풍수적 명처[연화부수형]에 생거사유(生居死幽) 형국에서부터 치(置)와 화(和)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사당-내삼문-강당-동서재-외삼문으로 이어지는 위계는 일상제-삼신-오제로 연결되는 삼신오제사상의 투영이자 주자가례에 의한 예제적 틀을 준용한 비례부동(非禮不動)의 의미 넣기 기법이다. 또한 남계서원의 환경설계에는 산수의 물질적 대립 항 그리고 전후(前後), 종횡(縱橫), 동정(動靜)이라는 방향과 운동의 이진부호적 복합체계를 개입시켜, 경직된 축선을 고집하지 않으면서도 자연지형에 밀착된 건물과 마당의 공간 및 시각구성상의 비대칭 균형원칙을 추구하여 '치와 화'의 교집합 공간을 구축하였다. 한편, 건물 이름 짓기는 학문수양과 관련하여 성리학적 가르침과 풍수사신사(風水四神砂) 구조와 연계시켜 이루어짐으로서 기능과 의미를 일체화시킨 치와 화의 경관 놓기와 경관 맞추기가 드러나고 있다. 또한, 건물과 마당의 폐쇄감으로 볼 때 강학(講學) 및 유상(遊賞)공간 그리고 제향공간은 그 공간성격에 따라 개방감과 위요감, 긴장감과 안도감, 상승감과 위계감이 적절히 부여되는 등 청각적으로 의사 전달이 가능한 인간적 척도 개념이 반영되고 있다. 남계서원의 초기 건립과 이후의 변모과정에서 드러난 자연과 유연하게 이어지는 기능, 완결을 지향하는 비완결의 열림 그리고 긴장과 이완이 반복되는 동세적 아름다움을 구현하기 위한 치(置-놓기)와 자연과 일체감을 갖는 질서와 연속, 기념성과 일상성의 공유 등을 구현하기 위한 화(和-맞추기)의 경관짜임 의도는 오늘날 토지이용계획은 물론 캠퍼스 환경설계 분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욱(1999)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 김상협(2000) 조선시대 서원건축에 나타난 유상공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영모(2005) 조선시대 서원의 조경.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0): 132-138
  4. 김영모, 최기수(1993) 퇴계집을 통해 본 서원의 배치유형 및 변천추이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1(1): 95-106
  5. 노송호, 박승자, 심우경(2006) 향교 및 서원의 공간별 상징수목과 배치 유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 1-12
  6. 노송호, 심우경(2006) 향교와 서원의 입지 및 외부공간 분석을 통한 한국적 교육환경 모색.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4): 25-37
  7. 박기용(2004) 도학적 이상세계를 희구한 정여창-남계서원편. 선비문화. 2. 남명학연구원: 78-86
  8. 박시익(1992) 풍수지리와 현대건축. 서울. 기문당
  9. 박영달, 신영철(1999) 서원의 외부공간 특성: 상주지방의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3): 18-31
  10. 손봉균(2003) 사림학파의 당쟁을 통해 본 서원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손윤희(2002) 무성서원 건립과 변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신상섭(1991) 전통주거의 외부경관 구성체계에 관하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양수룡(1979) 한국서원조경에 관한 연구: 남계서원 및 청계서원과 덕천서원. 진주농업전문대학논문집 17: 113-124
  14. 윤희면(2008) 경상도 함양의 남계서원 연구. 남명학연구 26: 363-401
  15. 이미영(2006) 조선시대 서원건축공간에 나타난 미학사상 연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논문집 19: 115-138
  16. 이상윤(1999) 조선시대 서원의 공간구성 특성 및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7(2): 13-21
  17. 이상윤, 김용기(1995) 조선시대 서원의 입지 특성 및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3(1): 157-173
  18. 이상해(1998) 서원. 서울. 열화당
  19. 이성호(2007) 조선시대 영남지역 유교건축의 루에 관한 연구: 루의 형태변화와 그 요인.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어령(2001) 도산서원의 공간 기호론적 해독. 기호학연구 10: 42-58
  21. 이진희(1992) 조선시대 서원의 입지특성 및 조경에 관한 연구: 경기도 지역의 서원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0(1): 1-14
  22. 이현택, 이정(1994) 서원 중정 공간의 폐쇄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1(4):101
  23. 임영배(2008) 흐름과 더함의 공간. 서울. 다른세상
  24. 장영훈(2005) 조선시대의 명문사학 서원을 가다. 서울. 도서출판 담디
  25. 정기철(1999) 17세기 사림의 묘침제 인식과 서원 영건.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정기철(2000) 남계서원의 건축사적 의미. 동양예술 1: 393-425
  27. 최기수(2005) 차경의 관점으로 본 한국의 전통정원.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58-165
  28. 최기수(2007) 조선시대 전통마을에 나타난 선비들의 서식관. 오늘, 옛 경관을 다시 읽다. 서울: 도서출판 조경
  29. 최완기(1981) 조선조 서원성립의 제문제. 한국시론 8
  30. 함양문화원(2001) 함양누정지 상. 함양의 뿌리(2). 대구. 大譜社
  31. 함양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2004) 함양역사인물록 대구. 大譜社
  32. Yoshinobu Ashihara(1970) Exterior Design in Architecture. Van Nostrand. 건축의 외부공간. 김정동(역), 기문당. 199
  33. http://cafe.naver.com/mahamudr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92
  34. http://hamyang.org/9.htm
  35. http://images.google.co.kr/imglanding
  36. http://image.search.daum.net/dsa/search?w=imgviewer&q=%B3%B2%B0%E8%BC%AD%BF%F8&page_offset=13&page
  37. http://korealike.culturecontent.com
  38. http://local.daum.net
  3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2594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