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인용 기능성 게임개발을 위한 중노년층의 수요분석

Analysis of the Needs of Middle and Elder Generation on Serious Game for the Elderly

  • 발행 : 2009.10.28

초록

본 연구는 노인용 기능성 게임 개발을 위해 중노년층 1030명을 대상으로 여가행동과 여가콘텐츠, 게임행동과 게임콘텐츠, 기능성게임 수용의지 파악을 위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토대로 수요도 및 게임 요구사항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노인은 건강과 휴식, 재미, 자기계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등산을 비롯한 정적여가활동 및 동적여가활동을 즐기고 있었는데, 궁극적으로 여가활동 중 게임활동 선호율은 낮으나, 기능성 게임을 통해 재미와 유익함을 얻을 수 있도록 건강게임이나 시뮬레이션 게임, 치료용 게임, 체험형 스포츠 게임 등 기능성 콘텐츠를 개발해 보급한다면 이용의지는 중년층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 연령별, 학력수준별, 소득수준별, 가족규모별로 일부의 수요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노인집단의 인구학적 변인을 토대로 한 게임 콘텐츠 개발을 고려해야 한다. 즉, 기능성 게임개발에 주요 목표층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요구되며, 다양한 실험과 효과성 검증을 통해 편리한 이용과 기능에 대한 신뢰, 그리고 심미적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 연구개발이 지속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needs of middle and elder generation about serious game for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elder generation prefers leisure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yoga, golf, walking and travel, etc., for health, interest, the development for oneself and relieving stress; (2) they don't prefer game activity for leisure, but prefer to use serious game for health, simulation, medical treatment and sports than middle generation; (3) elder generation has various characteristics and needs so that we should consider their demographical variables when we research and develop serious game contents for the elderly.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www.nso.go.kr
  2. 송지준, 엄인숙, "중년과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 고독감간의 관계", 대한관광경영학회지, 제23권, 제1호, pp.43-62, 2008.
  3. 이금룡, 홍성태, 이윤경,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중년층의 인터넷 사용 행태 - 미래 노인계층의 인터넷 활성화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24권, 여름호, pp.215-237, 2004.
  4. 장승원, "댄스스포츠 참여노인의 참가정도와 재밋거리, 관여도,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의사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11-122, 2008.
  5. 조석봉, 변승환,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실버세대의 여가활동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8호, pp.81-89,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8.081
  6. E. T. Khoo and A. D. Cheok, "Age Invaders: Inter-generational Mixed Reality Family Game," The International Joural of Virtual Reality, Vol.5, No.2, pp. 45-50, 2006.
  7. http://www.gg.go.kr
  8. 손대현, 재미론-인생의 명약, 형설출판사, 1998.
  9. 박석돈, 노인복지론, 삼우사, 2005.
  10. 이은아, "중년기 기혼남녀의 성역할 태도와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가정과학회지, 제9권, 제1호, pp.25-42, 2003.
  11. 김윤재, 정구애, 임옥빈, 류아빈, 차윤숙, 이윤로, 김수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신정, 2009.
  12. 이종영,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가 성공적 노화를 위한 사회심리적 인지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3권, pp.167-183, 2005.
  13. 조경욱, "여성 노인의 건강지위, 사회적 지지와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7권, pp.203-229, 2005.
  14. http://likms.assembly.go.kr/law/jsp/main.jsp
  15. 김혜연, 김성희, "노인의 부양유형 선호와 영향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제37권 제2호, pp.85-97, 1999.
  16. 성지미, 이윤정, "노인독신가구의 경제상태와 경제적 불평등에 관한 연구", 대학가정학회지, 제39권, 제2호, pp.111-130, 2001.
  17. 이윤정, 정순희, "노인의 여가시간 소비의 영향 요인 분석", 한국소비자학회, 제14권, 제4호, pp.1-19, 2003.
  18. 성정현, 여지영, 우국희, 최승희, 가족복지론, 양서원, 2009.
  19. 나항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4권, 제1권, pp.53-70, 2004.
  20. 모선희, 이지영, "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1호, pp.65-80, 2002.
  21. 문화관광부, 문화관광연구원, 여가백서, 2007.
  22.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산업 소비자 조사, 2003.
  23. 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08년 한국 인터넷백서-2007년 하반기 정보화실태조사, 2008.
  24. 한국인터넷진흥원, 장.노년층 인터넷이용실태 분석, 2006.
  25. 배재환, "기능성 게임이 가져야 할 필수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28-36, 2006.
  26. 이연숙, "그린콘텐츠 개념을 작용한 정신장애 치료게임 연구",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7권, 제1권, pp.11-19,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