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OVA Analysis on the Role Perception by Work Characteristics of Female Police Officers

여성경찰관의 근무특성에 따른 역할인식차이에 관한 ANOVA분석 - 수사분야 등 경찰목표 달성을 위한 역할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9.10.28

Abstract

This study has aimed at establishing of the new administration scheme related to the goal of police like the investigation division through analyses of differences on the role percep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In a related matter, work characteristics include ranks, working areas, working priod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role percep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are composed of 3 items like task role, group maintenance role and individual role. As a result, the differences by ranks, working areas, working priods that were analyzed by using one-way ANOV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ach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male police officers whose ranks were higher, who had been employed longer, and whose working areas were places where the cases occurred a lot more showed great point in mean value not only on task role but also on group maintenance role.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a direction to achieve the best efficacy of police duties such as a criminal investigation, the prevention of crime and presents an useful indication to redefine the role.

이 연구는 여성경찰관을 대상으로 근무특성에 따른 여성경찰관의 역할인식 차이를 분석하여 수사분야 등 경찰목표달성과 관련된 역할정립을 새로이 하고자 시도하였다. 근무특성은 실무적 차원에서 분석적 의미가 있는 계급과 근무지역, 근무기간 등으로 하였으며, 역할인식은 과업역할과 집단유지역할 그리고 개인역할로 세분하였다. 그 결과 계급별, 근무지역별 집단간 차이는 과업역할과 집단유지역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계급이 높고 사건 발생율이 많은 지역에서 근무하는 여성경찰관은 과업역할인식과 집단유지역할인식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근무기간의 경우에는 근무경력이 장기간인 여성경찰관이 과업역할과 집단유지역할인식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석은 그들이 경찰목표 달성을 위한 범인검거 및 예방 등에 대한 강한 과업역할 인식과 조직화합에 대한 높은 집단유지역할 인식을 갖고 있다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정환, "여성경찰관의 채용과 직무영역 확대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2호: pp.465-503, 2006.
  2. 제갈돈, 이환범, 김병문, "여성경찰관의 직무성과 인지에서 성별차이", 한국사회와 행정 연구, 제14권, 제4호, pp.401-422, 2004.
  3. 강신택, 사회과학연구의 논리, 박영사, 1995.
  4. 정구영, 대학학생운동선수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대학원, p.12, 2003.
  5. P. E. Mudrack and G. M. Farrell, "An examination of functional role behaviour and its consequences for individuals in group settings," smoll Group Research, Vol.26 pp.542-571, 1995. https://doi.org/10.1177/1046496495264005
  6. F. Griffith, Administrutive Theory in Eduadion: Text and Readings, Midland MI: Pendell Publishing Co. 1979.
  7. 오석홍. 조직이론, 박영사, 2003.
  8. 박성식, 교육행정관리론, 학지사, 1998.
  9. 박주문. "여자경찰제 활성화 방안", 한국공안 행정학회보, 제12호, pp.123-162. 2001.
  10. T. R. Sarbin and V. L. Allen, "Role theory," In G. Lindzey(Ed.).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1, pp.488-567, 1968.
  11. 이윤호. 경찰학, 박영사, 2006.
  12. 박용헌. 학교사회, 배영사, 1992.
  13. 홍성열. 사회과학도를 위한 연구방법론, (주) 시그마프레스, 2005.
  14.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