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Online Game Testing Process with Users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사용자 참여 기반의 온라인 게임 평가 프로세스 연구

  • Published : 2009.12.20

Abstract

When an online game is considered as a commercial product, now an online game should arouse the consumer's purchase desires as a service item. Most of all, the contents of an online game are important, but, on the other hand, beyond the online game services, it is also important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online games, which are developed through the specific testing processes. That 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game testing processes considering even the aspects of the usability of the online games on the basis of the qualitative and measureable game test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proper scopes of the online game testing processes in a view that an online game is a commercial product.

온라인 게임을 하나의 상품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개발되는 모든 온라인 게임은 서비스 제품으로서 사용자에게 구매의욕(게임을 하고 싶은 마음)을 불러 일으켜줘야 한다. 무엇보다도 게임 콘텐츠 재미 부분이 중요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게임 서비스 이전 세부적인 테스트 프로세스를 통해서 개발된 게임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즉, 일반적인 게임성 테스트 이외에도 이제는 게임 사용성 측면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게임 테스트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서 체계적인 게임 테스트 프로세스를 통해 정성적이며 정량적인 게임검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을 상품이란 기준 하에 그에 따른 평가 프로세스에 관한 내용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게임산업진흥원, 2008년 대한민국 게임백서, 한국게임산업진흥원, p138, 2008.
  2.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3년 대한민국 게임백서, 한국게임산업개발원, p722, 2003.
  3. 이충수,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평가요인 분석, e-비니지스연구 9권 3호, 2009.
  4. 강기호 외3명, The research regarding a game characteristic evaluation, 추계한국게임학회 논문집, p127-132, 2008.
  5. 서미라, 게임 평가도구로써 감성 평가시스템의 타당화,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7권 8호, p86-93
  6. 함형범 외2명, 게임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게임 만족도 평가시스템 모현 개발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7 No11, p1630-1638, 2004.
  7. Mihaly Csikszentmihalyi, FLOW, Harper Perennial, p71, 1991.
  8. Janice Redish, Joseph S. Dumas, 방수원외1명 역, 사용성 테스트 가이드 북, 한솜 미디어, p11, 2004.
  9. Robin Hunicke 외2명, A Formal Approach to Game Design and Game Research, GDC, San Jose, 2004.
  10. 카이로히로유기외 2, 박영목.이동연 역,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지호사, p37, 1998.
  11. 이노우에 카케시 저, 이영희역, 다이어그램으로 쉽게 배우는 UML, 한빛미디어, p59, 2009.
  12. Jakob Nielsen, Usability Engineering, Academic Press Bostenm, P26, 1993.
  13. 리차드 라우스3세 저, 게임디자인 이론과 실제, 정보문화사, p123,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