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rriage Outlook,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and Sexual Aware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결혼의식, 원가족 건강성 및 성의식에 대한 조사연구

  • 오원옥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marriage outlook for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Metho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and 438 university students were studied for final analysi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Marriage outlook scale, Family-of-origin Scale-55 and Sexual Knowledge & Attitude Test. Results: Marriage outlook for university students didn't demonstrate a positive point of view.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arriage outlook,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and sexual awareness.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marriage outlook of university students were current dating,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gender, and religion. These factors explained 10.6% of marriage outlook of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pport that special programs are needed in inducing a change in marriage outlook to overcome the low birthrate of Korea. These programs need to consider personal factors including the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gender and religion.

Keywords

References

  1. 고선주 (2002). 네티즌의 가족/친족관련 가치관과 태도. 대한가정학회지, 40(5), 159-177.
  2. 권인숙 (2003).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성의식 및 결혼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3. 김보경 (2005). 대학생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4. 김수연 (2003). 저출산 시대에 대비한 인구복지정책.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서울.
  5. 김순기, 유영주 (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 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1), 43-64.
  6. 김승권 (2003). 한국사회에서의 저출산의 원인과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김은형 (2004). 10대 후반 청소년들의 인구의식과 가족가치.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8. 남순현 (2001). 가족의 정서체계 역동성에 관한 연구-성인 자녀 가족과 3세대 가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9. 남순현, 한성열 (2002). 가족분화 수준, 가족 관계의 질 및 친밀감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33-49.
  10. 오순희 (2006). 저출산 요인과 출산 장려를 위한 보육정책의 발전과제.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청주.
  11. 윤미라 (2006). 고등학생의 결혼관 및 자녀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심리적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청원.
  12. 이삼식 (2006). 저출산 원인구조와 정책 방향. 보건복지포럼, 111, 5-17.
  13. 이삼식, 정윤선, 김희경, 최은영, 박새경, 조남훈, 신인철, 도세록, 조숙경, 강주희 (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저출산 실태조사 및 종합대책 연구.
  14. 전연진 (2002). 삼세대 가족관계 경험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15. 전영주 (2005).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분화와 이성교제 관계의 질, 결혼기대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6. 정구진 (2005). 저출산의 대응 정책에 곤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17. 조소연, 오윤자 (2001). 부모의 가족가치관 및 관련변수가 미혼성인자녀의 가족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12), 271-282.
  18. 조은수 (2007).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이 결혼관 및 가족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19. 진경복 (2005). 제주 지역 대학생의 결혼의식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제주.
  20. 차정화 (2002). 가족분화와 이성교제 커플의 정서적 역동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21. 차정화, 전영주 (2002). 이성교제 커플의 원가족 건강성과 친밀감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1), 39-57.
  22. 최현미 (1997). 원가족 척도연구: 결혼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23. 한선영 (2007). 저출산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기.
  24. Anderson, S. A., & Sabatelli, R. M. (1992). The differentiation in the family system scale(DIFS). Am J Fam Ther, 20(1), 77-89. https://doi.org/10.1080/01926189208250878
  25. Harvighurst, R. (1972).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Y.: david McKey.
  26. Hovestadt, A. J., Anderson, W. T., Piercy, F. P., Cochran, S. W., & Fine, M. (1985). A family-of-origin scale. J Marital Fam Ther, 2(3), 287-297.
  27.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an approach based on Bowen theory. New York and London: Norton Campany.
  28. Miller, W. R., & Lief, H. I. (1979). Sex knowledge and attitude test (SKAT). J Sex Marital Ther, 5(3), 282-7. https://doi.org/10.1080/00926237908403733
  29. Rovers, M., DesRoches, L., Hunter, P. E., & Taylor, B. (2000). A family of origin workshop process and evaluation. Fam J, 8(4), 368-375. https://doi.org/10.1177/1066480700084006
  30. Tabachnick, B. G., & Fidell, L. S. (1996).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3rd ed),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Cited by

  1. Influence of the Hoping Number of Children, the Policy of Childbirth, and the Causes of Reduced Childbirth to the Perception of Childbirth in Health-Line College Students vol.15, pp.8,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8.5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