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ealth related Behavior and Food Intake Frequency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of Older Adults in Agricultural and Fishery Areas

농.어촌지역 65세 이상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평가에 따른 건강관련행동 및 음식섭취빈도

  • Kim, Wan-Soo (Dept. of Culinary Science, Honam University) ;
  • Han, Young-Hee (Dept. of Food and Nutri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gener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status of physical function, the type and number of current diagnosis and self-reported symptoms, healthy life mode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SRH) of older adults (135 men and 270 women). It also attempted to assess the factors affecting the SRH standards in agricultural and fishery areas located in southwestern Korea. The subjects considered themselves as being 'good'(57.6%), 'normal'(29.6%) or 'poor'(12.85) SRH, meaning positive self-rating of health and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such as the gender, current marriage status, monthly wage, the reception of the government's livelihood subsidy and subjective economical status and the SRH were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categories of obesity, a large number of the participants rated themselves as 'healthy',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ubjects who reported poor ADL and IADL capacities, indicators of the status of physical function, were significantly more classified to the 'poor' health category and vice versa (P<0.001). The reported chronic diseases in this study that have lasted more than three months, were lumbago, sciatica, arthritis, high blood pressure and peptic ulcer. The current ratios of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were 85.3, 39.0 and 18.6%, respectively. The less drinking and exercising there was, the higher the 'good' SRH categories obtained (P<0.05). The respondents who had less chance of eating sour and hot foods estimated their health status as being better.

Keywords

References

  1. 강윤희, 김미영, 이에리쟈. (2008). 재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 수행능력, 영양 상태 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8(1), 122-130. https://doi.org/10.4040/jkan.2008.38.1.122
  2. 공은숙. (1998). 한국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생활기능상태 결정요인의 구조적 관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8(2), 380-391.
  3. 김유정. (1993).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원망의 구조와 생활교류 중심으로. 한양대석사학위논문.
  4. 김창임, 박영숙. (2000). 노인단독가구와 자녀동거가구 농촌 노인의 건강관련행동, 식행동 및 영양소섭취 적정도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5(2S), 307-315.
  5.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김이순. (1998).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I). 한국노년학, 19(1), 61-81.
  6. 김형식. (1993). 농촌노인의 생활실태와 여가선용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노유자. (1988).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모선희. (1995). 농촌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대책. 농촌생활과학, 16(4), 31-34.
  9. 박미석. (1996). 중년기 남녀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9-33.
  10. 보건복지부. (2002).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보고서.
  11. 보건복지부. (2007). 2003-2004년 지역사회노인코호트 연구보고서.
  12. 보건복지부. (2008). 2007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 보고서.
  13. 신경림, 김정선. (2004). 도시지역 여성노인의 건강관심도, 주관적 건강평가,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해위와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4(5), 869-880.
  14. 신은영. (1993). 농촌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오승환, 윤동성. (2006).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농촌.어촌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119-147.
  16. 윤상진. (1986). 농촌노인들의 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혜숙, 이정애, 안수연, 강금지. (2001). 춘천시 일부 노인들의 건강자각정도에 따른 건강관련행동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3), 340-353.
  18. 조완규. (1994). 농촌노인의 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4, 73-96.
  19. 천종희. (1999). 인천지역 노인의 건강과 체위 및 식행동 조사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4(5), 517-527.
  20. 채정숙, 조희금, 박충선, 정영숙. (1997). 주민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영역별 상대적 중요도 -경산시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5(4), 243-255.
  21. 최윤정, 박유신, 김찬, 장유경. (2004). 서울 및 경기지역 노인의 건강자가평가에 따른 기능적 건강 및 영양위험평가. 한국영양학회지, 37(3), 223-235.
  22. 최정숙, 권성옥, 백희영. (2006).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 장년, 노년층의 건강.영양상태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III 농촌노인의 주관적 건강 평가와 건강관련행동 및 식이섭취와의 관련성-. 한국영양학회지, 39(3), 286-298.
  23. 통계청. (2006). 사회통계조사.
  24. 통계청. (2007). 사회통계조사.
  25. 통계청. (2009). 사회통계조사(호남지방 통계청).
  2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1998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2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2004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28. 한혜경, 최성숙, 김명화, 이성동. (2005). 강화지역 남녀 장수 노인의 사회적, 신체적 건강상태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0(1), 111-121.
  29. 현태선, 김기남. (1997). 청주지역 노인의 영양실태조사 -2. 신체계측, 생화학적 검사 및 건강상태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4), 568-577.
  30.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0).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Nutrition, aging, and the continuum of care. Journal of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0(5), 580-595. https://doi.org/10.1016/S0002-8223(00)00177-2
  31. Bobak, M., Pikhart, H., Hertzman, C., Rose, R., & Marmot, M. (1998). Socioeconomic factors perceived control and self-reported health in Russia. A cross-sectional surve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47, 269-279. https://doi.org/10.1016/S0277-9536(98)00095-1
  32. Farmar, M. M., & Ferraro, K. F. (1997). Distress and perceived health; mechanism of health declin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8(3), 110-124. https://doi.org/10.2307/2955372
  33. Hoeymans, N., Fesdens, E. J. M., van den Bos, G. A. M., & Kronhout, D. (1997). Age, time, and cohort effects on functional status and self-rated health in elderly m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7(10), 1620-1625. https://doi.org/10.2105/AJPH.87.10.1620
  34. Report 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2000.
  35. Schlenker, E. D. (1998). Nutrition in Aging. 3rd ed.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