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도기반 모델을 이용한 SPOT-5 HGR 입체영상의 3차원 위치결정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3D Geo-positioning for SPOT-5 HRG Stereo Images Using Orbit-Attitude Model

  • 위광재 (성균관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한진정보통신(주) GIS기술연구소) ;
  • 김덕인 (한진정보통신(주) GIS기술연구소) ;
  • 이하준 (국토지리정보원 공간영상과) ;
  • 장용호 (미도지리정보(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발행 : 2009.10.31

초록

위성영상은 제조사별로 지상해상력이 다르고, 위성의 특성마다 모델링하는 방법이 다르다. 또한 위성영상도 항공사진처럼 스테레오 영상 형태로 제공이 되지만, 스테레오로 입체시 했을 때에 발생하는 영상상의 시차나, 모델과 모델의 인접지역에서의 위치 오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최근에는 SPOT-5 위성영상을 이용한 공간정좌자료를 갱신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SPOT-5 위성영상은 공간해상력이 2.5m로 1/5,000에서 1/20,000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다. 기존의 SPOT-5 위성영상의 정확도 해석은 대부분 단사진을 기반으로 자상기준점이나 모델링의 방법에 따른 정확도를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POT-5 스테레오 위성영상에 대한 궤도기반모델기법을 적용하여 입체시를 통한 SPOT-5 위성영상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궤도기반모델은 여러 가지 위성영상을 처리하는 센서모델 중 가장 정확도가 높은 모델링 기법으로 위성의 궤도력과 천문력을 이용하여 지상좌표를 정확하게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하여 수치도하기 상에서 입체시를 수행하고 입체시를 통하여 지상기준점, 모델과 모델의 인접 정확도, 수치지도 제작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modeling entire image strips that has been acquired from the same orbital segments. We tested sensor models based on satellite orbit and attitude with different sets(Type1 ~ Type4) of unknowns. We checked the accuracy of orbit modeling by establishing sensor models of one scene using control points extracted from the scene and by applying the models to adjacent scenes within the same orbital segments. Results indicated that modeling of individual scenes with 1st or 2nd order unknowns was recommended. We tested the accuracy of around control points, digital map using the HIST-DPW (Hanjin Information Systems & Telecommunication Digital Photogrammetric Workstation) As a result, we showed that the orbit-based sensor model is a suitable sensor model for making 1/25,000 digital map.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지리정보원 (2006), 접근불능지역 지리정보구축사업 결과보고서
  2. 국토지리정보원 (2008), 접근불능지역 지리정보구축 정확도 향상방안 및 표준화 연구보고서
  3. 국토지리정보원 (2006), 수치지도작성 작업내규
  4. 김태정 (2006), SPOT 위성영상에서의 위치-회전각 모델과 궤도-자세각 모델의 비교,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4권, 제 1호, pp. 47-55
  5. 김현숙 (2006), 궤도기반모델을 이용한 SPOT 위성 궤도 모델링 정확도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4권, 제 4호, pp. 27-36
  6. 장용호 (2009), 궤도기반 모델을 이용한 SPOT-5 HGR 입체영상의 3차원 위치결정 정확도 평가,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7. 유복모, 토니 쉥크 (2003), 현대 디지털 사진측량학, 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 pp. 187-199
  8. Fraser, C. S., H. B. Hanley and T. Yamakawa (2002), Three-dimensional geopositioning accuracy of IKONOS imagery, photogrammetric record, Vol. 17, pp. 465-479 https://doi.org/10.1111/0031-868X.00199
  9. Grodecki, J. and G. Dial (2003), Block adjustment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described by rational polynomial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69, pp. 59-68 https://doi.org/10.14358/PERS.69.1.59
  10. Fraser, C. S. and T. Yamakawa (2004), Insights into the affine model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sensor orientation,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58, pp. 275-288 https://doi.org/10.1016/j.isprsjprs.2003.10.001
  11. Hanley, H. B., T. Yamakawa and C. S. Fraser (2002), Sensor orientation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34, pp. 69-75
  12. Habib, A., H. Lin, and M. Morgan (2003), Line-based modefied iterated Hough transform for automatic single photo resection,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69, pp. 1351-1357 https://doi.org/10.14358/PERS.69.12.1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