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in Mt. Munsu and Mt. Okseok

문수산.옥석산 일대의 산림식생유형 분류와 종간연관 분석

  • Kim, Hye-Ji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Yun, Chung-W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9.03.09
  • Accepted : 2009.09.04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Mt. Munsu and Mt. Okseok from May to September in 2008 using phytosociological analysis methodology of Z-M school under the purpose of furnishing basic materials for rational and scientific forest management. Total of one hundred five study sites (quadrats) was investigated in the are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was divided into 5 communities such as Pinus densiflora for. erecta community,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community,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nd Larix kaempferi community. Pinus densiflora for. erecta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Rhododendron micranthum group, Quercus variabilis group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typical group.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community also into Ligularia fischeri group, Deutzia glabrata group (into Juglans mandshurica subgroup, Prunus maackii subgroup and Callicarpa japonica subgroup). Accordingly, the vegetation of the study areas could be described as 1 community group, 5 communities, 5 groups, and 3 subgroups and as 10 units in total. Classified vegetation unit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altitude and topography. According the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it was shown as three types which were coincident with differential species and character species on the constancy table.

본 연구의 목적은 문수산 옥석산 일대의 현존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식물사회학적으로 조사하고, 식물군락의 종조성과 구조적 특성, 입지요인 및 종간 상관관계를 구명하여 산림식생의 생태적 정보의 축적과 동시에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산림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목적에 바탕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수산 옥석산 일대에 총 105개소의 산림식생조사자료를 토대로 Z-M 식물사회학적방법에 의해 식생유형분류를 수행하였던 바 총 10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으며,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이 분류되었고, 군락단위에서는 금강소나무군락, 산수국군락, 갯버들군락, 잣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이 분류되었다. 금강소나무군락은 군단위에서 꼬리진달래군, 굴참나무군, 금강소나무전형군의 3개 군이 세분되었고, 산수국군락은 곰취군, 물참대군의 2개 군으로 세분되었으며, 물참대군은 다시 가래나무소군, 개벚지나무소군, 작살나무소군의 3개 소군으로 세분되었다. 또한 각 식생단위는 해발고와 지형에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종의 연관관계에 의하여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이는 식생단위의 식별종 및 표징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혜진, 윤충원. 2009. 문수산·옥석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7(2): 164-175
  2. 김현숙, 김호준, 이규석, 송호경. 2004. 계룡산 동학사계곡 남사면과 북사면의 산림식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 52-61
  3. 배관호. 2005. 금봉자연휴양림의 식생분류와 식생자료의 생태적 활용.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2): 11-20
  4. 봉화군a. 2008. 문수산·옥석산 일대의 식물상, 식생 및 소생물권. 북토리. pp. 253
  5. 봉화군b. 2008. 백두대간 생태계의 보전 전략과 과제 심포지엄. pp. 126
  6. 산림청. 2005. 희귀식물목록. 국가생물종시스템(http://www.nature.go.kr/)
  7. 배관호, 조현제, 홍성천. 2003. 울진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림일대 산림군락의 식생조성 및 구조. 한국임학회지 96(6): 536-544
  8. 산림청. 2003. 국가표준식물목록 (http://www.koreaplants. go.kr:9101/)
  9. 윤충원, 이찬호, 김혜진. 2007. 충청남도 가야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5): 379-389
  10. 윤충원, 홍성천. 2000. 금강송림의 식생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9(3): 310-322
  11. 이경보, 김창환, 이덕배, 김종구, 박찬원. 2004. 동진강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농학회지 23(1): 34-40 https://doi.org/10.5338/KJEA.2004.23.1.034
  12. 이병천, 윤충원. 2002. 내연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5(3): 153-161
  13. 이병천, 윤충원, 신준환, 오정수. 2001. 면산 일대 산림 식생의 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0(4): 548- 557
  14. 이중효, 배관호, 조현제. 2006. 일월산 산림식생의 종구 성적 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지 8(3): 132-140
  15.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10
  16. 이호준, 정흥락, 배병호. 1995. 청량산 삼림식생의 군락 분류 및 종간연관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18(1): 121-136
  17. 최송현. 2002. 백두대간 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식물군집 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44-353
  18. Agnew, A.D.Q. 1961. The ecology of Juncus effusus L. in North Wales. Journal of Ecology 49: 83-102 https://doi.org/10.2307/2257425
  19. Braun-Blanquet, J. 1964. Pflanze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ng, Wien, N.Y., pp. 865
  20.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pp. 136 Stuttgart
  21. Shrader-Frechette, K.S. and McCoy, E.D. 1993. Method in E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Great Britain. pp. 330
  22. Spurr, S.H. and Barnes, B.V. 1980. Forest Ecology 3rd ed. Wiley. New York. pp. 603
  23. van Staden, P.J.A. and Bredenkamp, G.J.B. 2005. Major plant communities of the Marakele National park Koedoe. 48: 59-70
  24. Walter, H. 1979. Vegetation of the Eatth and Ecological Systems of the Geo-biosphere, 2nded. Springer-Verlag, New York. 274pp
  25. Westhoff, V. and van der Maarel, E. 1978. The Braun- Blanquer approach. In: Whittaker, R.H.(Ed.)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Boston: Junk, 617-726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