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mparison with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between Demonstrating and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Rural Community

농촌 건강증진 시범사업 지역주민과 비 시범사업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생활 행태 비교

  • Lee, Young-Sook (College of Nursing, Chonnam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영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 연구소)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between demonstrating and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rural community. Methods: Objects of the study were 13,000 people by stratified sampling in rural community of H and J Gun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1st December to 30th, 2005,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Research tool of this study were modified Korea BRFSS, Park‘s stress questionnaire and Nutritional evaluation tool suggested b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 Korea. Results: People received 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were significantly more good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in related drinking, exercise and stress than that of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Conclusions: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received 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than that of non-demonstrating. Government suppor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local government finance.

본 연구는 건강증진 시범사업을 수행하는 보건소와 자체 예산으로 건강증진 사업을 수행하는 보건소간 주민의 건강증진 생활 형태의 차이를 대표성있는 대상자를 선정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은 지난 2004년 1년간 건강증진 시범사업 실시 지역 1개 군(H 군)과 비 실시 지역 1개 군(J 군)을 임의표집하고, 2개 군에 주소를 둔 20세 이상 주민 전체 중 연령별, 남녀별, 읍면별로 인구분포 수에 따라 층화비율 표집을 하여 총 1,300명을 추출하였다. 자료는 훈련받은 조사원이 젊은이는 자가보고식으로 노인은 면접법으로 수집하였고 도구는 한국판 BRFSS설문지를 수정보완하고, 보건복지부의 식생활자가점검표, 박순영이 개발한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두 지역 주민의 건강증진 생활행태를 차이를 x2-test와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보건복지부 지원의 건강증진 시범사업지역 주민이 더 건강하다고 생각하고, 흡연율, 음주관련 생활행태가 모두 좋았으며 규칙적 운동율도 높았고, 스트레스도 유의하게 낮아 정부 지원건강증진 사업이 효과적이라고 나타났다. 이는 건강증진 5대 요소를 모두 포괄하는 사업계획을 하였으며, 타 보건소와의 경쟁을 통해 사업지역으로 선정되고, 사업 종료 후 내외부 평가 기준과 지침이 명확하며, 사업비 지원이 중요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본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한다. 1) 다년간 건강증진사업 시범지역과 비시범지역의 차이를 비교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2) 건강증진생활 행태를 중심으로 대도시, 도농복합도시 및 농촌의 건강증진 사업 효과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건강증진 사업 편람. 보건복지부, 2002
  2. 보건복지부. 주요 만성질환관리사업 지침. 보건정책관실 질병관리팀, 2006, 쪽1-4
  3. 보건복지부. 건강증진 사업 교육훈련-사례분석을 통한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사업 기획 및 운영전략. 서울, 건강증진 거점보건소 기술지원 평가단, 2002
  4. 유승현.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의 적용 방안.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9;26(1):141-158
  5. 이영숙, 임영효, 심미정, 김은영. 담양군 보건 사업기획을 위한 지역사회 진단 및 건강지표, 전라남도 담양군보건소.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6, 쪽1
  6. 이경식. 건강증진 II. 간호학탐구 1994;(3)1:5-18
  7. Jackson C, Jatulis DE, Fortmann SP. The behavioral risk factor survey and the Stanford five-city project survey: a comparison of cardiovascular risk behavior estimates. Am J Public Health 1991;82:412-416 https://doi.org/10.2105/AJPH.82.3.412
  8.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구리시 뇌졸중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 사업. 한양대학교지역사회 보건연구소, 1998
  9. 옥천군 보건소. '옥천 주민의 고혈압 관련행태 조사' 설문지. 1999, 쪽1-19
  10. 옥천군 보건소. '건강 옥천 2010'을 향한 옥천군 지역사회진단(건강실태)조사지. 쪽1-17
  11.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생활 이렇게 하자. 1999, 쪽45
  12. 박순영. 스트레스 측정도구. 광주광역시 서구 보건소식 1999;11(84):2
  13. 통계청. 2006 사화통계조사결과-가족, 보건, 사회참여, 노동. 2006, 쪽18-24
  14. 조유향, 박윤창. 농촌 청소년의 흡연양상과 건강증진사업과의 연계점. 한국농촌의학회 추계학술대회 연제집, 2003, 쪽51-53
  15. 보건복지부.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의식행태 편' 2002
  16. 이영숙, 임영효, 심미종, 김은영. 담양군 보건사업기획을 위한 지역사회 진단 및 건강지표, 담양군보건소, 전남대학교 간호과학 연구소, 2006, 쪽10
  17. Moon-Hee Ko & Yonng-Sook Lee. Relationships of geriatric depression on lesure activities and drinking habits among the elderly.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8:13(1):63-80
  18. Yoo Hyang Cho.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obesity in rural resident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and Promotion 2007;24(4):29-43
  19. Mi Ah han, Ki Soon Kim, Jong Park, So Yoen Ryu, & Mung Geun Kang. Psychosocial stress levels and related factors in some rural residents. J Agri Med & Community Health 2008;33(1):47-58 https://doi.org/10.5393/JAMCH.2008.33.1.046
  20. Ha-Jeong Kim. Health lifestyle behavior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 in a rural community.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iversity, Master Thesis, 2007
  21. Wamala SP, Lynch J, Horsten M, Mittleman MA, S-Gusafsson K & Orth-Gomer K. Education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women. Diabetes Care 1999;22:1999-2003 https://doi.org/10.2337/diacare.22.12.1999
  22. Jeong Ae Suk. Review of the health promotion foundations and its implication for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and Promotion 2008;25(4):93-110
  23. Champman, SL. In search of program models for health promotion. The Art of Health Promtion 1997;1(5):1-7
  24. Duffy, ME. Determinant of health-promoting lifestyles in older persons. IMAGE: J of Nurs Scholarships. 1993;25(1):23-28 https://doi.org/10.1111/j.1547-5069.1993.tb00749.x
  25. Pender, NJ. Hela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oewalk, Conn, Appleton & Lange, 1982
  26. Walker, SN, Volkan, K., Schrist, KP, & Pender, NJ. Health promoting life sytles of older adults : Comparisons wi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correlates and patterns. Adv in Nurs Science 1988;11(1):76-90 https://doi.org/10.1097/00012272-198810000-0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