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 construction with core questions from a course evaluation survey

핵심 문항들을 활용한 모델링-강의 평가 자료를 활용한 사례연구

  • Pak, Ro-Jin (Department of Information & Statistics, Dankook University)
  • 박노진 (단국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e scientific research method went through construction of hypothesis and collection of data by experiment or observation and abstracting the hypothesis based on the experience which uses the data. The statistical methodolog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The method which acquires a data becomes an initial process of abstraction and a survey research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s a basic tool. After the data is acquired, the high-clas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used to abstract a hypothesis. By the way, from time to time the concepts which have become abstractive do not help us to understand an actual phenomena, rather it is need to extract some knowledge from questions themselves. In this article, we review the well known statistical methods providing the ways of finding core questions which possibly answer a researcher wants to know. We deal with course evaluation data as an example and try to set up the strategy for improving course evaluation.

과학적 연구 방법은 가설을 세우고 실험이나 관찰을 통해 얻은 자료를 이용한 경험적 사실을 바탕으로 가설을 추상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자료를 획득하는 방법이 추상화의 최초 과정이 되고 많은 경우 서베이 리서치라는 구조화된 문항을 통한 방법이 사용 된다. 자료가 획득된 후에는 회귀분석, 선형구조방정식 등 고급 통계 기법들을 사용하여 가설들을 추상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설문지를 통해 많은 수 의 문항들의 응답이 획득되고 추상화를 위해 차원 축소라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차원 축소된 정보들이 때때로 실제 현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현실감을 떨어지게 하는 경우도 존재하고 추상화 보다는 설문지 자체에서 어떤 지식을 얻기가 요구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 설문지의 문항들 중에서 과연 어떤 문항들이 연구하고자 하는 문제의 해답을 줄 수 있는 핵심적인 문항인지를 찾아내고 이들 핵심 문항들로 모델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강의 평가 자료를 예제로 사용하여 보다 나은 강의 평가를 받기 위한 전략들을 구상하여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학일, 김성숙, 권오양, 이천, 노경호 (2007). 이공계 강의평가 결과의 실증적 분석 을 통한 강의평가제도의 개선 방안. <공학교육연구>, 10, 58-77.
  2. 류춘호, 이정호 (2005). 대학의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9, 52-63.
  3. 박성현 (2000). <현대실험계획법>, 민영사, 서울.
  4. 배병렬 (2005). , 청람, 서울.
  5. 신민철 (2007). <사회연구방법의 기초>, 창민사, 서울.
  6. 양미경 (2008). 학생의 평정에 의거한 대학 강의평가의 의의와 한계. <교육원리연구>, 13, 93-122.
  7. 염시창 (2008). 대학 강의평가도구의 타당화 및 관련 변인의 다층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1, 25-52.
  8. 원태연 (2005). <통계조사분석>, 자유아카데미, 서울.
  9. 이희원, 강호선, 정연순, 허은녕 (2005). 대학 강의 질 개선을 위한 강의 평가 문항 분석-서울대학교 이공계열 교양 과목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8, 249-279.
  10. 조장식, 강창완, 최승배 (2009). 강의평가에 대한 균등화방법의 비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 65-75.
  11. 최경호, 이승주 (2005). 강의 서비스품질 측정도구 제안. <응용통계연구>, 18, 487-497.
  12. 한신일 (2001).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의 관련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19, 247-266.
  13. 홍두승 (2005). <사회조사분석>, 다산출판사, 서울.
  14. 황세명, 김인택 (2005). 대학 강의평가에서 문항 추출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8, 31-45.
  15. Kim, J. D. (2006). Expressions for shrinkage factors of PLS estimator.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7, 1169-1180.
  16. SPSS (2007). SPSS base 16.0 user’s guide, SPSS Inc., Chic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