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Motor Skill and Social Fun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 한미애 (솔파란아동발달연구소) ;
  • 장기연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김지연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한수연 (솔파란아동발달연구소)
  • 투고 : 2009.11.20
  • 심사 : 2009.12.17
  • 발행 : 2009.12.31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에게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아동의 운동기능 및 사회성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대전 S 아동연구소 감각통합치료실을 이용하는 아동 중, 발달장애 및 정신지체로 진단받은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그룹 감각통합치료에 참여하는 아동 5명, 대조군은 개별 감각 통합치료에 참여하는 아동 5명으로 주 1회 90분, 20주 동안 적용하였다. 아동의 운동기능 및 사회성 증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 사후 검사로 운동적합성 검사(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 한국판 적응행동검사(Korean-Scales of Independent Behavior-Revised) 그리고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Scale)를 사용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적용 전 후 실험군 대부분의 아동이 손/상지협응(Manual coordination)과 신체협응(Body coordination), 사회성 전반적 영역에서 기능향상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전 후 운동기능 및 사회성 향상의 차이는 실험군 아동이 대조군 아동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손/상지협응(Manual coordination), 손기민성(Manual dexterity) 하위항목, 사회성숙도 검사의 사회연령, 사회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및 사회성 기능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보다 다양한 장애 유형의 아동을 대상으로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ther group Sensory Integration(SI) therapy has the effect on improvement of motor skill and social func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Method : The subjects were recruited among children received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t a Children's Development Institute in Dae-Jeon, experimental group is total 5 participating in 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control group is also 5 participating in individual sensory integration therapy. The program was constructed for 90 minutes and all children either in the experimental or in the control group went through intervention for 20 weeks.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II, Korean-Scales of Independent Behavior-Revised and Social Maturity Scale were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motor skill and social function. Results : Mos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overall aspects of motor skill and the social function comparing pre-intervention with post-intervention, but they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comparing experimental group with control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motor skill and social function. Furthermore,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especially in manual coordination, manual dexterity, and social age and social quotient in Behavior-Revised and Social Maturity Scale. Conclusions : It is found that a 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program has effect on motor skill and social func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in this study. In the future study, group SI therapy should be applied for children with diverse diagnosis in order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of therap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