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User's Awareness of Subway Environment Shape Objects in Metropolitan Cities

광역시 지하철 환경조형물에 대한 이용자 의식분석 연구

  • 최철형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문화디자인학과) ;
  • 박선우 (서울산업대학교 도자문화디자인학과) ;
  • 김창현 (서울산업대학교 공업디자인학과) ;
  • 조한진 (서울산업대학교 공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Environmental shape objects not only play a part as various cultural facilities but also symbolize local unique culture beyond the limit of functional role. Therefore subway environmental shape objects should be approached in terms of public installations and art and should be designed to accommodate and meet the needs of subway users appropriately. In order to find out what subway users think about environment shape objects in subway stations, the factors that can evaluate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environment shape objects and visual image of environment shape objects were examined and analyzed. Positive elements were shown with regard to environment shape objects a lot but it is judged that visual quality of subway environment can be deteriorated if environment shape objects do not harmoniz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tation environment.

지하철역사의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승객운송을 위한 기능주의적 정거장에서 벗어나 획일적인 지하공간을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창조하며 지역의 문화를 알리는 중요한 시각적 지표내지는 지역의 고유한 이정표의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지하철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개인의 취향이나 사적인 입장보다는 공공설치물이나 공공예술이란 범주에서 지하철 이용자의 기대에 대한 다수의 유의한 감정의 공감대 형성에 필요한 디자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하철 환경조형물 설치에 있어 지하철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되고 선호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지역별 이용자에 대한 환경조형물의 인지도와 선호도 및 작품의 시각적 이미지를 평가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경조형물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요소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역사 환경의 특성과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오히려 지하철 환경의 시각적 질을 저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여하선(2006), “환경도자조형물의 시지각적 특성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5-20
  2. 진미자(2006), “철도문화디자인 정체성 구현 연구,” 서울산업대학교철도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66-128
  3. 이인재(1995), “서울지하철 벽화의 형태 및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0-45
  4. 손순경(2007), “Antoni Gaudi Cornet 건축의 환경도자 양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