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교통 바이모달트램의 도시규모별 도입타당성 분석

The Feasibility Studies for Introducing Bimodal Tram System Based on Urban Scale

  • 엄진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교통물류연구실) ;
  • 성명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교통물류연구실) ;
  • 김현웅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교통물류연구실) ;
  • 이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교통물류연구실)
  • 발행 : 2009.12.30

초록

현재 국내에서 개발 중인 바이모달트램은 철도의 정시성과 버스의 접근성 등의 장점을 합친 신교통수단으로서 국내 도입에 따른 대중교통체계의 변화가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모달트램의 국내 도입전략에 대하여 도시 규모별 교통수요 및 노선의 특성을 고려한 도입전략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지자체별로 다양한 교통 및 대중교통체계가 존재하고 재정적 여건 등 도입여건이 다양함으로 바이모달트램을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지하철/경전철을 도입하려는 지자체의 재정적 부담을 덜고 경전철에 준하는 수송력과 친환경성을 갖춘 바이모달트램의 도입을 검토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The Bimodal Tram being developed in Korea is a new transit system that provides both benefits of rail and bus systems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fixed time schedule. This study accomplished a feasibility study for introducing the Bimodal Tram system by considering the travel demand and existing transit system at a city level based on its population. The feasibility of Bimodal Tram system varies depending on cities with respect to demographic scale, mode shares, and operational distances. The strategies introduced here will help any cities where transport agencies are trying to introduce the Bimodal Tram as a new transit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윤희택 외(2008), “대중교통체계에서 바이모달트램의 기능과 역할.”
  2. 통계청(2007), “인구통계자료.”
  3.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6) “2006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4. KDI(2004), “도로철도 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제4판).”
  5. 현대엔지니어링(2008), “신에너지 바이모달 저상굴절차량 시스템의 국내도입 적용성 검토.”
  6. 김훈(2007), “도시철도 시스템 평가방안 정립 및 활용방안,” 한국교통연구원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 “첨단버스체계 BRT 계획과 적용.”
  8. 국토해양부(2008), BRT 편람.
  9. 한국교통연구원(2008), “신에너지 바이모달 수송시스템 교통부문 지원기술개발.”
  10. 도로교통(2005), “국내외 BRT 동향 및 도입방안.”
  11. 한국교통연구원(2009), 지자체 BRT 계획과 추진방안 세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