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inematic Analysis of Jerk Motion during Successful and Failed Trials of a Male Weight lifter -Case Study of an Olympic Gold Medalist-

역도 용상 Jerk기술동작의 성공.실패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사례연구-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uccessful and failed trials of the dean and jerk exercise performed by an 2008 Beijing Olympic gold medalist. One successful and one failed trial of an Olympic gold medalist (2008 Beijing Olympic 77 kg event) were investigated for this study.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ree digital camcorders (SF: 6Hz). The events were recorded during the 89th Korean National Athletic Games. After analyzing the jerk mo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The successful trial revealed a shorter performance time at Phase 1 and a longer one at Phase 3 and Phase 4 as compared to the failed trial.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knee in failed trial was lower than that m the successful one. The differences in the vertical velocity of barbell and knee between the trials were seen at Phase 3 and Phase 4. A faster COM inferior velocity was seen in the successful trial at Phase 3. A more flexed knee angle was seen in the failed trial as compared to the successful trial at E3.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 남자 역도 금메달리스트인 사재혁선수를 대상으로 최대의 노력으로 경기력을 수행하고 있는 실제 경기상황에서 동일한 중량으로 Jerk동작의 1차시기 실패 후 2차시기 성공을 운동학적으로 분석하여 실패의 원인을 구명하여 사재혁 선수의 Jerk기술 향상과 경기력을 극대화시키고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성공 동작이 실패동작에 비하여 1국면에서는 짧은 시간을, 3국면과 4국면에서는 다소 긴 수행시간을 보였다. 바벨의 수직변화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무릎에서는 E4에서 실패 시 낮은 수직 위치를 나타냈다. 바벨의 수직속도는 4국면에서 무릎의 수직속도는 3국면과 4국면에서 성공과 실패동작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3국면의 실패동작에서 성공동작에 비하여 빠른 신체무게중심의 하방속도가 나타났다. E3순간의 실패동작에서 성공동작에 비하여 더 굴곡된 무릎각도가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현(2007). 역도용장 Jerk-Dip동작 시 무릎 자세 각에 따른 생체 역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 김용재(2001). 역도우수선수 용상동작의 생체역학적 분석. 한국운동학회지, 11(1), 83-98.
  3. 문영진, 류중현, 이순호(2004). 주기적 정성적 분석을 통한 훈련목표 제공이 남자역도 인상기술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14(2), 69-93. https://doi.org/10.5103/KJSB.2004.14.2.069
  4. 박성순, 이석구, 송주호(2004). 우수역도선수들의 용상종목 시 Jerk 동작에 관한 운동학적분석. 국민대학교 스포츠과학학연구소 논총, 제23집
  5. 신동철(1993). 역도경기 용상동작의 운동학적연구. 한국체육과학연구원 1급 경기지하연수원 역도전공 수료논문.
  6. 이석구(2004). 우수역도 선수의 용상동작에 대한 생체 역학적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7. 이종호(2001). 역도용상종목의 Jerk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8. 주명덕(1998). 역도 경기의 인상과 용상 종목의 풀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비교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8(2), 57-79.
  9. 최은자, 김창범, 신준용(2004). 여자 역도 우수선수와 비우수 선수간 용상동작의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4(2), 351-362.
  10. Brudett, R. C.(1982). Biomachanics Of The Snatch Technique high Skiled Weightlifters Reserch. Quartery for Exercise and Sport, 53(3), 193-197. https://doi.org/10.1080/02701367.1982.10609339
  11. Delitto, A., Brown, M., Strube, M. J., Rose, S. J., & Lehman, R. C.(1989). Electrical stimulation of quadriceps femoris in an elite weight lifter: a single subject experi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10(3), 187-191. https://doi.org/10.1055/s-2007-1024898
  12. Hakkinen, K., Komi, P. V., Alen, M., & Kauhanen, H.(1987). EMG, muscle fibre and force production characteristics during a 1 year training period in elite weight-lifters. Eure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Occupational Physiology, 56(4), 419-27. https://doi.org/10.1007/BF00417769
  13. Funato, K., Kanehisa, H., & Fukunaga, T.(2000). Differences in muscle cross-sectional area and strength between elite senior and college Olympic weight lifters.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40(4), 312-318.
  14. Haff, G. G., Carlock, M., Hartman, M. J., Kilgore, J. L., Kawanmori, N., Jackson, J. R., Morris, R. T., Sands, W. A., & Stone, M. H.(2005). Force--Time curve characteristics of dynamic and isometric muscle actions of elite women Olympic weightlifter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19(4), 741-748. https://doi.org/10.1519/R-15134.1
  15. Butler, D., Andersson, G. B., Trafimow, J., Schipplein, O. D., & Adriacchi, T. P. (1993). The infulence of load knowledge on lifting technique. Ergonomics, 36(12), 1489-1493. https://doi.org/10.1080/00140139308968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