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비자의 유행색 브랜드 개성 지각과 태도

Consumer Trend Color Perception of Brand Personality and Attitude

  • 발행 : 2009.12.28

초록

색상은 콘텐츠의 하나로서 소비자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색상 이미지는 시간을 두고 축적된 경험이나 지식의 산물로 존재한다. 본 연구는 향후 유행할 것으로 예측되는 유행색을 중심으로 색의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개성과 의미를 파악하고 색상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크리스탈 사운드, 크리미 터치, 미스테리우스 빈티지, 오톰 포레스트, 카니발 등 5개의 주요한 유행색들은 비교적 독특한 고유의 개성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인 형용사 이미지 분석 결과, 크리스탈 사운드는 자수성가한 사업가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크리미 터치는 여고생의 이미지, 미스테리우스 빈티지는 대부의 이미지, 오톰 포레스트는 일반 대중의 이미지, 카니발은 서커스 광대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크리미 터치는 소비자의 태도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개인의 개성과 색상의 개성의 일치성을 고려함으로서 긍정적인 소비자 행동을 유발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패션과 마케팅을 연결한 학제적인 연구로서 가치가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Colors, as a part of contents, have great implications to consumers. Each individual feels the image of colors as an outcome of the accumulated experience or knowledge of oneself. This study aims to find the personality and meaning of color images through the predicted trend colors and to analyze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s them. We found that the 5 major trend colors such as Crystal Sound, Creamy Touch, Mysterious Vintage, Autumn Forest and Carnival seem to have their own personality images. Furthermore, we discovered that Crystal Sound has an image of a self-made man, Creamy Touch a highschool girl, Mysterious Vintage a God father, Autumn Forest the public and Carnival a circus clown as a result of additional adjective image analysis. In addition, customers mark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Creamy Touch.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personality of an individual and that of colors are coincide and it might bring about a positive consumer behavior. And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t meaning since it is a sort of interdisciplinary study in-between fashion and marketing and it should be studied further later.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승구, 양영종, "인쇄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 중 칼라의 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9권, 제1호, pp.9-35, 1988.
  2. 이영희, 이경희, "광고표현의 톤", 광고학연구, 제10권, 제3호, pp.149-178, 1999.
  3. 윤선길, "칼라명칭이 색채반응, 상표태도 및 제품속성 지각에 미치는 효과 연구", 광고학 연구, 제15권, 제4호, pp.231-247, 2004.
  4. 정혜민, 색채학, 시그마 프레스, 2006.
  5. 문화산업진흥법, 1999.
  6. 에바 헬러(이영희 옮김), 색의 유혹, 예닯, 2002.
  7. 김정구, "브랜드 개성을 통한 광고전략 연구", 광고학연구, 제9권, 제1호, pp.37-52, 1999.
  8. L. R. Goldberg,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Personality: The Big Five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9, pp.1216-1229,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9.6.1216
  9. 김유경, "국가 브랜드 개성의 차원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여름호), pp.89-119, 2007.
  10. 석현정, 정상훈, "브랜드 개성이 제품 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패션 비즈니스 제12권, 제2호, pp.165-175, 2008.
  11. R. W. Belk, "Possesions and the Extended Self,"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September), pp.139-168, 1988.
  12. K. L. Keller,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January), pp.1-22, 1993.
  13. J. L. Aaker,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4, No.3, pp.347-356, 1997. https://doi.org/10.2307/3151897
  14. 임병훈, 안광호, 주영욱, "브랜드선택에 있어 브랜드 퍼스낼러티와 제품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마케팅연구, 제18권, 제4호, pp.1-21, 2003.
  15. R. E. Kleine, S. S. Kleine, and J. B. Kernan, "Mundane Consurnptipn and the Self: A Social-Identity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93), pp.209-235, 1993. https://doi.org/10.1016/S1057-7408(08)80015-0
  16. 이유진, "종이 시료에 대한 면프린트 시료의 시각적 관능검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제20권, 제1호, pp.67-76, 2006.
  17. Lee Yoo-Jin, Nobuko Naruse, "Visual Evaluation of Polka-dot Patterns among Japanese and Korean Students," The Japan Society of Fashion Business, Vol.6, pp.43-53, 2000.
  18. 유재윤, 조재립, "대형 할인점의 물리적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대형 할인점 3사를 중심으로",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25권, 제2호, pp.42-49,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