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alid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al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의 타당도 분석

  • Published : 2009.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ify construct validity of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Lee, 2008). For the purpose, First, test was done with 1202 middle students sampled from nationwide.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confirmed 7 factor model was generally appropriate and acceptable. Second, in order to test criterion-related validity, test was done with 530 middle school students sampled form Seoul, Gyeonggido, Chungchongdo. The inventory has criterion-related validity enough to be a tool for measurement. Reliability of this inventory was .94 and retest reliability was .91. The limitation of this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이윤옥(2008)의 연구에서 추출한 7개요인 33문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를 중학생을 대상으로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전국의 남녀 중학생 1,202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를 실시한 후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본 검사도구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여 본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검증되었다(GFI=.913, CFI=,919, PMR=.048, TLI=.910). 또한 본 검사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서울, 경기, 충청지역 중학교 530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와 수업이해도, 자율학습 효율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검사와 수업이해도(r=.67), 본 검사와 자율학습효율성간(r=.65)에도 정적 상관을 보여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검사 도구의 전체문항 신뢰도는 .94이었으며, 검사-재검사신뢰도는 .91이었다. 본 검사도구의 활용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자, 김경성, 유귀옥, 유길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사회교육학연구, 제2권 제1호, pp.1-25, 1996.
  2. 노국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시도". 교육과정평가연구, 제2권, 제1호, pp.27-38, 1999.
  3. 박용휘,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진단척도 타당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4. 양철기 , 박아청, " 초등학교 고학년용 학습양식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 21권 제 1호, pp.169-183, 2007.
  5. 유귀옥,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심리적 변인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6.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R2003-15-03), 2003.
  7. 이순우, 학업성취 관련 학습기술 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8. 이윤옥, "자기주도학습 개념 분석 및 측정도구 개선방향에 관한 제언", 아동교육, 제16권, 제1호, pp.19-30, 2007.
  9. 이윤옥,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교육문제연구, 제30권, pp.59-78, 2008.
  10. 신은영, 송인섭, 최명구, "위계적 지능구조 모형의 적합도 검증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3호, pp.93-119. 2002.
  11. J. Baumert, O' Nei. lFend, and J. L. Peschar, Prepared for Life-long Learning, Frame of Reference for the Measure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s a Cross-Curricular Competency(CCC) in the PISA Project. Paris: OECD, 1998.
  12. M. Gibbons, The self-directed learning handbook: Challenging adolescent students to excel, New York: John Wiley & Sons, 2002.
  13.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977.
  14. M. S. Knowle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Chicago, IL: Follett Publishing Co, 1975.
  15. H. B. .Long and Associates,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information age, Boynton Beach, FL: Motorola University, 2001.
  16. L. F. Odd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33, No.2, pp.97-107, 1986.
  17. J. Pilling-Cormick, The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 scale: A step toward a toolbox approach to instrumentation proposed for self-directed learnin,. In H. B. Long & Associates (Eds.),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 theory(pp.159-168), Norman, OK: Public Managers Center, College of Education, University of Oklahoma, 1998.
  18. S. L. Stockdal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elf-directed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2003.
  19. R. F. West and E. L. Bentley, Structural analysi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LISREL modeling. In Long, H. B. & Associates, In Advance in research and practice in self-directed learning. University of Oklahoma. pp.157-180,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