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의 타당도 분석

Valid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al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 : 2009.12.28

초록

본 연구는 이윤옥(2008)의 연구에서 추출한 7개요인 33문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를 중학생을 대상으로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전국의 남녀 중학생 1,202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를 실시한 후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본 검사도구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여 본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검증되었다(GFI=.913, CFI=,919, PMR=.048, TLI=.910). 또한 본 검사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서울, 경기, 충청지역 중학교 530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와 수업이해도, 자율학습 효율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검사와 수업이해도(r=.67), 본 검사와 자율학습효율성간(r=.65)에도 정적 상관을 보여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검사 도구의 전체문항 신뢰도는 .94이었으며, 검사-재검사신뢰도는 .91이었다. 본 검사도구의 활용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ify construct validity of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Lee, 2008). For the purpose, First, test was done with 1202 middle students sampled from nationwide.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confirmed 7 factor model was generally appropriate and acceptable. Second, in order to test criterion-related validity, test was done with 530 middle school students sampled form Seoul, Gyeonggido, Chungchongdo. The inventory has criterion-related validity enough to be a tool for measurement. Reliability of this inventory was .94 and retest reliability was .91. The limitation of this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지자, 김경성, 유귀옥, 유길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사회교육학연구, 제2권 제1호, pp.1-25, 1996.
  2. 노국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시도". 교육과정평가연구, 제2권, 제1호, pp.27-38, 1999.
  3. 박용휘,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진단척도 타당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4. 양철기 , 박아청, " 초등학교 고학년용 학습양식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 21권 제 1호, pp.169-183, 2007.
  5. 유귀옥,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심리적 변인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6.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R2003-15-03), 2003.
  7. 이순우, 학업성취 관련 학습기술 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8. 이윤옥, "자기주도학습 개념 분석 및 측정도구 개선방향에 관한 제언", 아동교육, 제16권, 제1호, pp.19-30, 2007.
  9. 이윤옥,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교육문제연구, 제30권, pp.59-78, 2008.
  10. 신은영, 송인섭, 최명구, "위계적 지능구조 모형의 적합도 검증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3호, pp.93-119. 2002.
  11. J. Baumert, O' Nei. lFend, and J. L. Peschar, Prepared for Life-long Learning, Frame of Reference for the Measure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s a Cross-Curricular Competency(CCC) in the PISA Project. Paris: OECD, 1998.
  12. M. Gibbons, The self-directed learning handbook: Challenging adolescent students to excel, New York: John Wiley & Sons, 2002.
  13.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977.
  14. M. S. Knowle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Chicago, IL: Follett Publishing Co, 1975.
  15. H. B. .Long and Associates,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information age, Boynton Beach, FL: Motorola University, 2001.
  16. L. F. Odd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33, No.2, pp.97-107, 1986.
  17. J. Pilling-Cormick, The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 scale: A step toward a toolbox approach to instrumentation proposed for self-directed learnin,. In H. B. Long & Associates (Eds.),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 theory(pp.159-168), Norman, OK: Public Managers Center, College of Education, University of Oklahoma, 1998.
  18. S. L. Stockdal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elf-directed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2003.
  19. R. F. West and E. L. Bentley, Structural analysi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LISREL modeling. In Long, H. B. & Associates, In Advance in research and practice in self-directed learning. University of Oklahoma. pp.157-180,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