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피해 발생빈도-피해액 관계분석을 통한 지역별 홍수피해특성 분석

Analysis of Regional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using Relationship between Flood Frequency and Damages

  • 발행 : 2009.10.31

초록

현재까지의 치수대책이나 복구대책은 대부분 당해 연도의 지역별 피해액만을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역의 홍수 발생빈도와 홍수피해액 관계를 분석하면 지역의 홍수피해특성을 고려한 보다 합리적인 치수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빈도 분석을 이용하여 과거 38년('70~'07)간의 전국 시군구별 홍수피해자료를 이용하여 무차원 홍수피해 발생빈도와 피해액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분면적 해석방법을 도입하여 전국 시군구의 홍수피해 유형을 다빈도-대피해 지역, 다빈도-소피해 지역, 소빈도-대피해 지역, 소빈도-소피해 지역이라는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활용하면 시군구별로 홍수피해액별 발생빈도와 발생빈도별 홍수피해액을 손쉽게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의 치수방어년을 설정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발생빈도별 홍수피해액을 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치수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거나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t has been considered only with the concerned regional damage costs whenever the restoration and flood control measures were established in Korea. I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flood frequency and damages is quantitatively analyzed, more resonable and reliable countermeasure for flood protection and restoration can be proposed. Historical data ('70~'07) about flood damage in Korea were utilized and analyzed to present such relationship using the point frequency analysis. Also, the quadrant analysis was employed to divide into 4 categories: high frequency-high damage, high frequency-low damage, low frequency-high damage, and low frequency-low damage. If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utilized well in specific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it would be helpful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s and action plans for flood protection because it was possible to compare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flood frequency and damage of each region. And it would be the fundamental data for estimating the effect of future flood protection plan.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2001) 수자원장기종합계획 (Water Vision 2020)
  2. 박태선 외 (2005) 홍수피해특성 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국토연 2005-6, 국토연구원
  3. 심명필 (2004) 치수사업 경제성분석 방법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건설교통부
  4. 윤용남 (2003) 공업수문학, 청문각
  5. 이건행, 박석근, 김형수, 임우생 (2006)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 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홍수피해액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4B호, pp. 363-369
  6. 통계청 (2002) 시군구 100대 지표
  7. 행정자치부 (2007) 재해연보 2007
  8. 유종현, 이충성, 김형수, 심명필 (2004) Bayesian 기법을 이용한 홍수피해액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4년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pp.742-747
  9. Murray, A.T., Shyy, T.K. (2000) Integrating attribute and space characteristics in choropleth display and spatial data m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14, pp. 649-667 https://doi.org/10.1080/136588100424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