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Strategic Plan of U-Forest for Implementation U-Land

U-Land 구축을 위한 U-Forest 전략 수립 연구

  • 이상무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학과) ;
  • 구지희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학과) ;
  • 정태웅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학과) ;
  • 김경민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산림자원정보과) ;
  • 이승호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산림자원정보과)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Since the beginning of 2000, the ubiquitous technology rapidly has been at center of public concerns, and application of the ubiquitous technology is expanding in Korea with U-City as the center. U-City is currently planned and built by local governments, but the applicable range of the ubiquitous technology should be expanded in the future to build U-Territory and U-Land projects. As a part of this, U-forest should also be implemented, and that now is the time to gain support in policy and systematic initiative. Therefore, this study defines U-Forest concept to implement valuable national resources, healthy land environment, and pleasant green space by using ubiquitous technology as an effective way to produce, manage, use, and distribute the forest. In order to establish strategy for U-Forest, it has considered basic forest plan, k-Forest, and FGIS projects, and has drawn a service model pertaining to them. Also, it has proposed the need to establish the basic plan for U-Forest, and suggested details to include in the plan.

한국에서의 유비쿼터스 기술의 적용은 U-City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데, 앞으로는 U-Territory, U-Land 구축차원에서 U-Forest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 및 체계적인 추진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Land와 U-Forest의 개념을 산림의 생산, 관리, 이용, 유통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여 가치 있는 국가자원, 건강한 국토환경, 쾌적한 녹색공간을 구현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U-Forest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산림기본계획과 k-Forest, FGIS 사업을 고찰하였으며, 이들과 연계한 서비스 모델의 도출을 제안하고, 단위서비스모델을 도출하였다. 또한 U-Forest 기본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U-Forest 기본계획 수립 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수갑, “U-City 구축동향, 국내외의 U-City 구축동향 및 시장규모 등을 예측”, 전자부품연구원, 2007.
  2. 김도년, “유비쿼터스 도시구현을 위한 도시설계방향, 첨단 정보화시대의 미래 도시계획 방향 - 도시의 날 제정기념 특별토론회”, 한국토지공사, 2007.
  3. 김복환, 구지회, 곽인영, “지속가능한 U-City 운영을 위한 선순환 U-City 모델의 개발방향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2009. 03, pp. 145-156
  4. 김정미.정필운, “U-City로 바라보는 미래도시의 모습과 전망”, 한국전산원, 2005.
  5. 류석상, 류영달, 이용석, 정명선, 정지선, “유비쿼터스 사회의 발전추세와 미래전망”, 한국전산원, 2005.
  6. 산은경제연구소, “국내외 U-City 추진동향 및 활성화 방향”, 2007.
  7. 이승일, “유비쿼터스 도시건설을 위한 도시계획 방향, 첨단 정보화시대의 미래 도시계획 방향-도시의 날 제정기념 특별토론회”, 한국토지공사, 2007.
  8. 조병선, “지자체 U-City 도입의 파급효과 및 전개방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7.
  9. 한국전산원, “한국형 U-City 모델 제안, 2005.
  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City 산업 파급효과 분석 - 화성 동탄지구를 중심으로”, 2006.
  11. 한국정보사회진흥원, “U-City 인프라구축 가이드라인”, 2008.
  12. 한국 U-City협회, “U-City 운영센타 플랫폼 표준”, 2007.
  13. 산림청, “제5차 산림기본계획”, 2007.
  14. 산림청, “2009년도 주요업무 세부추진계획”, 2009.